美 클래식 거장 레바인 10대 성추행 의혹으로 결국 파면

美 클래식 거장 레바인 10대 성추행 의혹으로 결국 파면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3-13 10:49
수정 2018-03-13 10: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메트 “성추행 연루 믿을만한 증거 확보…계속 일하는 것 불가능”

제임스 레바인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명예음악감독이 10대 성추행 추문에 휘말리게 됐다. 미국 뉴욕메트로폴리탄 제공
제임스 레바인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명예음악감독이 10대 성추행 추문에 휘말리게 됐다.
미국 뉴욕메트로폴리탄 제공
세계적인 지휘자 제임스 레바인(74)이 40년 이상을 일해온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이하 메트)로부터 12일(현지시간) 해고 통보를 받았다.

1960∼1980년대 성추행 의혹으로 정직된 지 3개월여 만에 공식으로 파면됐다.

레바인의 성 추문은 메트의 자체 조사에서 사실로 확인됐다.

메트는 이날 “레바인이 메트에 재직하기 전과 재직하던 기간 성추행에 연루됐다고 믿을만한 증거를 찾아냈다”고 발표했다.

메트는 “이에 따라 레바인이 메트에서 계속 일하는 게 부적절하고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레바인과의) 관계를 종료한다”고 말했다.

레바인의 성추행은 미국의 성추행 폭로 파문인 ‘미투’ 캠페인 속에 지난해 12월 언론보도로 세상에 알려졌다.

15살 때인 1985년 레바인으로부터 성적 학대를 당했다며 일리노이 주의 한 40대 남성이 경찰에 낸 고발장이 일간 뉴욕포스트에 첫 보도됐다. 이어 수십 년 전 10대 때 레바인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는 다른 남성 2명의 폭로가 뒤따랐다.

1972년 메트의 수석지휘자가 됐고 1976년 음악감독으로 취임한 레바인은 세계 최고의 오페라단 중 하나로 손꼽히는 메트에서 2천500회가 넘는 공연을 지휘한 마에스트로였다.

파킨슨병으로 2015~2016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일선에서 물러나긴 했지만, 명예 음악감독 직을 유지하며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성 추문에 따른 메트의 정직 조치로 작년 12월 1일 베르디의 ‘레퀴엠’ 공연 지휘를 끝으로 무대에서 물러났다.

메트는 조사를 위해 전직 검사를 고용했으며 70여 명을 대면 조사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