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관방 “화해·치유재단 출연금 반환 요구 생각 안 해”

日관방 “화해·치유재단 출연금 반환 요구 생각 안 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1-21 17:30
업데이트 2018-11-21 17: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한 일본대사 일시귀국 가능성엔 “北문제 의견교환 중요”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21일 한국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이하 재단)의 해산 결정을 발표한 것과 관련, 일본 측의 재단 출연금에 대해 “반환을 요구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도쿄 교도 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도쿄 교도 연합뉴스
스가 장관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일본 정부는 (2015년) 한일 합의에 기초해 10억엔을 일괄 거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국 측에 재단의 잔금이 합의의 착실한 실시라는 관점에서 적절하게 사용되고, 일본 정부의 의향에 반하는 형태로 사용되지 않도록 강하게 요구해 가고 싶다”고 말했다.

스가 장관은 지난해 초 부산 소녀상 문제를 이유로 나가미네 야스마사(長嶺安政) 주한 일본대사를 일시귀국시켰던 것처럼 이번에도 비슷한 조치를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일반론으로 외국 주재 대사의 일시귀국은 해당 안건의 성격, 국제정세, 양국 관계 등을 고려한 뒤 적절히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한국 주재 대사에 대해선 북한 문제에 관해 한일 간에 고위급 의견교환과 정보 수집이 매우 중요한 현재 상황 등을 고려해 판단해 갈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주한 일본대사의 일시귀국 조치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보인 것이라고 교도통신은 해석했다.

스가 장관은 재단 해산이 한일 합의 파기에 해당하느냐는 질문에는 “한국 정부는 ‘합의는 파기하지 않는다’, ‘일본 측에 재협상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뜻을 외교적으로 밝혀왔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