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책임처 경제전망...“WTO 체제선 지출도 증가”


영국 의회-AFP 연합뉴스
예산책임처에 따르면 영국 경제 성장률은 올해 -11.3%, 내년 5.5%를 기록하지만 EU와의 현 협상이 결렬되면 GDP가 2% 감소하는 등 추가 충격이 예상됐다. 예산책임처는 앞서 브렉시트 후 영국 GDP가 장기적으로 4%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영국은 지난 1월 말 EU 탈퇴 후 올해 말까지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양측의 협상이 결렬돼 영국이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의 적용을 받으면 관세 부과, 국경 내 혼란 등으로 경제에 악영향이 예상된다. 예산책임처는 여기에 물가 상승률이 더욱 높아지고, 지출 증가로 연간 100억파운드(약 14조 8000억원)가 추가로 들 것으로도 추정했다.
더불어 브렉시트에 부정적인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출범하는 것도 영국으로서는 악재가 될 수 있다. 영국은 EU에 속한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간 국경 통제를 부활해 EU를 압박하려 하지만, 바이든 당선인은 이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 아일랜드 혈통인 바이든 당선인은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간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돼야 한다고 밝혀 국경 이슈를 협상에 활용하려던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의 구상에 차질이 예상된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