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중국·대만 민감한 시기…“대만 전투기 해상 추락”

중국·대만 민감한 시기…“대만 전투기 해상 추락”

강민혜 기자
입력 2022-03-15 13:57
업데이트 2022-03-15 1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만 공군 주력 전투기 기체 이상으로 추락

“기체 이상” 선 그었지만
中, 대만 통해 국제 정세 지속 불만 표해 ‘관심’
14일 해상에 추락한 미라주2000-5 전투기. 대만 연합보 캡처
14일 해상에 추락한 미라주2000-5 전투기. 대만 연합보 캡처
대만 공군 주력 전투기가 기체 이상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5일 연합보와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공군 미라주2000-5 전투기 1대가 전날 오전 11시26분께(이하 현지시간) 동부 해상에 추락했다. 

중국 군용기들의 대만 겨냥 무력 시위가 이어지는 중이라 눈길이 쏠린다. 사고 전투기 조종사는 비상 탈출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 “대응 출격? 사실 아냐”
보도에 따르면 사고기는 이날 10시 8분쯤 동부 타이둥(台東) 즈항(志航) 공군기지를 이륙, 적 전투기를 저지하는 ‘전투공중초계’(CAP) 임무를 수행 중이었다.

사고 전투기가 전날 대만 서남부 방공식별구역(ADIZ)에 진입한 중국 군용기 13대에 대응 출격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됐으나 공군은 부인했다.

중국 군용기는 이날 오전 9시 53분·11시 30분·11시 32분·11시 43분 등 4차례 걸쳐 대만 ADIZ에 진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공군은 미라주2000 전투기 기종의 비행을 전면 중단하고 안전 점검에 들어갔다.

대만은 1992년 프랑스 방산업체 다소로부터 대당 30억 대만달러(약 1275억원)에 미라주2000-5 전투기 60대를 구매해 북부 신주(新竹)기지의 제2 전술 전투기연대에 배치해 운용하고 있다.

중국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대만을 향한 무력시위를 이어가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대만이 이를 저지하는 임무를 수행 중이기 때문이다.

● 中, 美측 대만 방문 날에도 무력시위
러 우크라 침공날에도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보낸 대표단이 대만에 도착했던 지난 1일 중국 전투기들은 대만해협 중간선에 바짝 붙어 비행하는 무력 시위를 벌였다. 

2일 대만 국방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날 J-16 전투기 2대·KJ-500 조기경보기 1대·Y-8 원거리 전자교란기 1대·Y-8 대잠기 1대·Z-9 대잠헬기 2대 등 총 7대의 군용기가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에 들어와 대만군이 초계기 파견·무전 퇴거 요구·방공미사일 추적으로 대응했다.

J-16 전투기 2대는 대만해협 중간선의 남쪽 끝 바로 밑을 지나 대만 방향으로 비행하다 돌아갔다.

대만해협 중간선을 넘은 것은 아니지만 중국이 대만에 심리적 압박감을 주는 고강도 무력 시위를 한 것이다. 미국측의 대만 방문에 대한 불만 표출이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가주권 수호와 영토 보전에 대한 중국 인민의 결심과 의지는 확고부동하다”며 “미국이 그 누구를 파견해 대만을 지지하든 모두 헛수고”라고 주장했다.

대만해협 중간선은 미국 공군 장군인 벤저민 데이비스가 지난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과 대만 간의 군사적 충돌을 막기 위해 일방적으로 선언한 경계선이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 24일엔 중국 군용기 9대가 대만 서남부 방공식별구역에 들어가 대만군이 초계기 파견·무전 퇴거 요구·방공 미사일 추적 등으로 대응했다. 이날 무력 시위에는 J-16 전투기 8대·Y-8 기술정찰기 1대가 동원됐다. 

이날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날이다. 이 때문에  대만은 중국의 무력 시위 동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뉴스1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뉴스1
강민혜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