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러軍 전사자 498명이라더니…CNN “눈 녹으니 시신 수백구 드러나”

러軍 전사자 498명이라더니…CNN “눈 녹으니 시신 수백구 드러나”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2-03-24 13:49
업데이트 2022-03-24 14: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괴된 러시아 전차. 우크라이나 국방부 제공
파괴된 러시아 전차. 우크라이나 국방부 제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4주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꽝꽝 얼었던 우크라이나 땅이 녹으면서 곳곳에 묻혀졌던 러시아군의 시체가 드러나고 있다고 CNN 방송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CNN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남부 미콜라이우 지역의 비탈리 김 주지사는 지난 19일 이 지역의 기온이 영상으로 오르자, 주민들에게 러시아군의 시신을 수거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 주지사의 이 같은 요청은 시신들을 러시아로 돌려보내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실제로 러시아로 이 유해를 송환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군이 후퇴하면서 동료를 전장에 남겨두고 떠났다”면서 “지역 곳곳에 시신 수백구가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자국군 피해 규모를 축소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서방 국가와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군의 실제 사상자수가 러시아 측이 밝힌 수보다 훨씬 많다고 주장해왔다.
우크라이나가 공개한 러시아군 포로 모습.
우크라이나가 공개한 러시아군 포로 모습.
우크라이나군 매복 공격으로 포탑이 뜯겨져 나간 러시아 전차. 우크라이나 국방부 제공
우크라이나군 매복 공격으로 포탑이 뜯겨져 나간 러시아 전차. 우크라이나 국방부 제공
러시아 당국이 지난 21일 기준 발표한 자국 사망자 수는 498명이다. 그러나 친정부 성향의 러시아 일간지 콤소몰스카야 프라브다는 같은 날 러시아 국방부를 인용해 러시아 병사가 9681명 사망했으며 부상자는 1만 6153명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러시아가 앞서 밝힌 공식 사상자수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기사는 곧 삭제됐고 언론사는 자사 사이트가 해킹을 당해 부정확한 정보가 게재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매체가 밝힌 사상자 수는 미국 정보 당국이 지난주 보수적으로 추산해 밝힌 러시아 사상자 수와는 비슷한 수준이다. 미 당국은 당시 시점까지 전투에서 숨진 러시아 병사는 최소 7000명 이상이라는 추정치를 공개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21일 기준 약 1만 5000명의 러시아군이 사망했다고 집계하기도 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사망한 자국 군인의 수를 감추기 위해 전사자의 시신 최소 2500구를 본국으로 옮겼다는 증언도 나왔다.

지난 19일 텔레그래프는 자유유럽방송 등의 보도를 인용해 러시아군 전사자 시신이 밤중에 우크라이나와 가까운 벨라루스 동남부 도시 고멜을 거쳐 본국으로 이송됐다고 보도했다.

고멜 현지 병원의 한 의사는 “3월 13일까지 2500구가 넘는 시신이 (우크라이나에서) 고멜 지역으로 이송됐다가 기차와 항공기에 실려 러시아로 옮겨졌다”고 주장했다.

또 고멜의 인근 도시인 마지르의 한 주민은 “시체 안치소에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시체가 많았고, 마지르 기차역의 승객들은 열차에 실려 있는 시신의 수에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내무부는 웹사이트(200rf.com)와 텔레그램 채널을 개설, 전사하거나 생포된 러시아군의 사진과 신분증을 꾸준히 올리고 있다. 인공지능(AI)과 그 밖의 소셜미디어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페이스북을 통해 “러시아 군인들의 시신 사진을 바탕으로 AI를 사용해 소셜미디어에서 프로필을 찾고 있다”며 “이는 ‘징집병 참여 없는, 누구도 죽지 않는 특별 군사작전’이라는 (러시아측) 신화를 깨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