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봉쇄조치 여파 상하이항 ‘개점휴업’
해상 물류 병목 확산, 셧다운 불안
세계 경제 혼란 변동성 주의 우려
중국이 제로 코로나(확진자 0명)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한 대규모 봉쇄 조치가 장기화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대란의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미국 CNN비즈니스는 17일(현지시간) 중국 상하이항의 봉쇄로 전 세계 공급망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하이항은 연간 물동량 기준 4700만TEU(1TEU는 6m 길이 컨테이너 1개)로 세계 최대 무역항이다.
![지난 5일 전면 봉쇄 중인 중국 상하이의 한 지역에서 방역 장비를 입은 노동자들이 주민들에게 나눠줄 식료품을 나눠주고자 트럭에서 짐을 내리고 있다. 상하이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06/SSI_20220406183711_O2.jpg)
![지난 5일 전면 봉쇄 중인 중국 상하이의 한 지역에서 방역 장비를 입은 노동자들이 주민들에게 나눠줄 식료품을 나눠주고자 트럭에서 짐을 내리고 있다. 상하이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06/SSI_20220406183711.jpg)
지난 5일 전면 봉쇄 중인 중국 상하이의 한 지역에서 방역 장비를 입은 노동자들이 주민들에게 나눠줄 식료품을 나눠주고자 트럭에서 짐을 내리고 있다. 상하이 AP 연합뉴스
미 블룸버그통신도 위성사진과 수출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하이항 등의 물류 병목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1일 기준 상하이항에 발이 묶인 컨테이너선은 222척으로, 지난달 대비 15% 증가했다. 이 여파로 인근 항구인 닝보저우산항에도 197척이 오가지 못하고 대기 중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상하이항의 여파가 리자오항과 칭다오항, 톈진항 등 중국 주요 항구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발 물동량의 급감은 글로벌 공급망의 셧다운 불안을 키우고 있다. 하루 2100대를 제조하는 상하이 테슬라 공장은 20일째 가동이 중단됐다. 상하이는 미국과 독일, 중국 업체가 연간 283만 3000대를 생산하는 중국 제2의 자동차 생산기지다. 자동차뿐 아니라 반도체와 전자업체도 타격을 받고 있다. 세계 최대 노트북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제조사인 콴타 공장의 생산이 전면 중단됐고, 소니와 애플 공급업체도 휴업이 장기화되고 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중국의 대규모 봉쇄 조치가 세계 경제에 혼란과 변동성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투자은행 노무라의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루팅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상에 집중하면서 세계 시장이 (봉쇄 조치의) 심각한 영향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중국발 공급망 대란은 2020년 코로나19 확산 직후, 그리고 지난해 6월에도 발생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