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년만에 꺼낸 가슴 보형물 상태”…액체 주르륵 ‘충격’

“36년만에 꺼낸 가슴 보형물 상태”…액체 주르륵 ‘충격’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2-07-02 23:03
수정 2022-07-05 17: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의 한 성형외과 의사가 36년만에 가슴에서 꺼낸 보형물 영상을 공개해 화제다.

2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오클라호마주의 성형외과 의사 니콜 카스텔리제는 최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틱톡에 환자의 몸에서 36년 만에 드러낸 가슴 보형물을 공개했다.

영상 속 보형물은 색이 변질된 채 탄력을 잃어 쭈글쭈글하다. 보형물을 뒤집자 안에서 흘러나온 끈적한 실리콘이 바닥에 눌어붙어 있다.

카스텔리제는 “지난 1985년 가슴 확대 수술을 받은 65세 여성의 것”이라며 “보형물이 신체 내부에서 파열돼 석회화됐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여성은 1990년대에도 의사를 찾아갔지만, 보형물을 계속 넣어놔도 괜찮다는 진단을 받았다”라며 “환자의 요청으로 가슴 보형물을 제거하려는 환자가 점점 더 많이 나오고 있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보형물을 10년 이상 유지하면 안 된다”라며 “파열된 보형물이 감지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형물을 오래 유지하고 있는 사람들은 MRI 검사를 권장한다”라고 당부했다.

한편 가슴을 오랜 기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후 유방검진 또한 필수적이다.

수술 전 검진의 경우 양성 결절 또는 유방암 유무를 파악하여 예방뿐만 아니라 치료를 진행하는 것은 물론, 수술 후에는 초음파를 통하여 보형물의 안착 여부와 손상 유무를 확인하며 혹시 모를 부작용 발생을 낮추는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