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에게 가장 위험한 곳은 이라크·시리아

언론인에게 가장 위험한 곳은 이라크·시리아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12-30 20:46
수정 2022-12-30 2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년간 언론인 1668명 취재 중 목숨 잃어

RSF(국경없는기자회) 홈페이지 캡처
RSF(국경없는기자회) 홈페이지 캡처
지난 20년간 언론인 1700명 가가까이가 취재 및 보도 업무와 관련해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경없는기자회(RSF)가 30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3∼2022년 전 세계 언론인 1668명이 업무 도중 살인이나 청부 살인, 공격, 전쟁·분쟁지역 취재 중 입은 피해 등으로 숨졌다.

가장 많은 언론인이 사망한 국가는 이라크와 시리아였다. 두 국가에서 숨진 언론인은 578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34%에 이르렀다. 이어 멕시코(125명), 필리핀(107명), 파키스탄(93명), 아프가니스탄(81명), 소말리아(78명)가 뒤를 이었다. 언론인이 가장 많이 사망한 해는 2012년 144명이었고, 2013년 142명이 숨졌다. RSF는 2011년 발발한 시리아 내전 여파라고 분석했다.

2019년부터 감소세를 보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다시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2019∼2021년 50명 초·중반대였지만 올해 58명으로 늘어났다. 올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사망한 기자는 8명이다.

RSF는 20년 동안 전쟁 지대에서보다 비(非)전쟁 지대에서 사망한 언론인 비율이 더 높았다고 밝혔다. 이들 다수는 해당 지역 내 범죄나 부패 등 사안을 취재하다가 숨진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125명), 브라질(42명), 콜롬비아(31명), 온두라스(26명) 등이다.

2003년부터 지금까지 숨진 여성 기자는 총 81명이었다. 이 가운데 52명이 2012년 이후 사망했다. 이들 대다수는 여성 인권 문제를 조사하다가 변을 당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