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진쑹(오른쪽)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이 지난 15일 외교부 청사에서 송용삼 포스코 중국 법인장과 회견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9/SSC_20230219163553_O2.jpg)
![류진쑹(오른쪽)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이 지난 15일 외교부 청사에서 송용삼 포스코 중국 법인장과 회견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9/SSC_20230219163553.jpg)
류진쑹(오른쪽)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이 지난 15일 외교부 청사에서 송용삼 포스코 중국 법인장과 회견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제공
1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사 사장(司長·국장)은 지난 15일 송용삼 포스코 중국 법인장을 만나 “중한 경제는 밀접히 연결돼 있고 산업망과 공급망도 고도로 융합돼 이미 ‘네 속에 내가 있고 내 속에 네가 있는’ 협력 구도가 됐다”며 “시장 규칙과 자유무역 원칙을 존중하고 생산망과 공급망의 안정적인 소통을 보장해 발전과 번영을 실현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류 사장은 또 “우리는 중국의 경제발전 전망에 자신이 있다. (해외 자본이) 중국 내 투자 협력을 계속 확대하기를 원한다”며 “중국은 포스코 등 외국 기업이 중국에 투자해 사업하는 데 있어서 계속해서 서비스와 편리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내수시장 확대를 올해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있는 가운데 개별 외국기업에 다자 무역 체계와 시장 주체의 합법적 권익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송 법인장은 “포스코는 다국적 기업으로서 글로벌 생산망과 공급망 안정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며 “한중 경제무력 협력 강화와 양국 국민간 우호 감정 증진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포스코 중국 법인 관계자는 “특별한 이슈나 어젠다 없는 가벼운 차담회 자리”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경제 부처가 아닌 중국 외교부가 한국 기업 대표와의 만남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중국이 최근 전 세계로 퍼지는 반중정서와 이에 따른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기지 이전 움직임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