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일(오른쪽 두번째) 영국 주재 북한대사가 대사관 앞에서 북한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탈북민들에게 항의하다가 영국 경찰관들의 제지를 받고 있다.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 페이스북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9/SSC_20230219202901_O2.png)
![최일(오른쪽 두번째) 영국 주재 북한대사가 대사관 앞에서 북한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탈북민들에게 항의하다가 영국 경찰관들의 제지를 받고 있다.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 페이스북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2/19/SSC_20230219202901.png)
최일(오른쪽 두번째) 영국 주재 북한대사가 대사관 앞에서 북한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탈북민들에게 항의하다가 영국 경찰관들의 제지를 받고 있다.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 페이스북 캡처
김주일 국제탈북민연대 사무총장은 18일(현지시간) 페이스북에 “2월 16일 김정일 생일에 영국 북한대사관 앞 시위에서 최일 대사가 나와 탈북민들에게 항의하다 현지 경찰에 의해 관내 안으로 끌려 들어가는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일 대사도 조만간 태영호 의원처럼 망명을 결심하겠죠? 북한 정권에 직접적인 타격이 되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인 ‘광명성절’을 맞아 지난 16일 영국에 살고 있는 탈북민들이 북한 대사관 앞에서 북한 인권 개선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국제 탈북민 연대(INKAHRD)’와 ‘재영 탈북민 총연합회’, ‘평양 복음 찬양 선교단’ 등은 탈북자 수기 낭독, 김정은 집권 이후 숙청 사례 설명, 북한 정권 규탄 성명서 발표 등의 집회를 열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전했다.
김 사무총장은 16일 집회에서 “국제사회의 전략적 인내를 조롱하듯 최근 북한 정권의 군사적 도발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며 “북한은 비핵화란 없고, 핵은 국체며 공화국의 절대적 힘”이란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총비서의 아버지 김정일의 81번째 생일인 오늘,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은 관내에 추모소를 설치하고 친북인사들을 대거 불러놓고 독재자의 사망을 추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전 공사였던 태영호 국회의원도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국제탈북민연대는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을 향해 “북한 외교관들은 태영호 의원을 본받아 김정은 하수인으로 살지 말고 자유세계로 탈출하라. 독재정권과의 결별을 결단하라”고 외치기도 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최고위원 선거에 출마한 태 의원은 최근 제주4·3평화공원을 방문해 “명백히 북한 김일성의 지시로 4·3 사태가 촉발됐다”고 주장했다가,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언행 주의를 요구받았다.
영국은 한국을 제외하면 세계 최대 규모의 탈북민 사회가 형성된 곳으로, 약 700~1000명이 탈북민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