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 위험한 기업 부채가 전체의 22%로 높아
고금리에 차입비용 오르면 일부기업 디폴트 될수도
국제통화기금(IMF)이 아시아 국가들의 기업부채가 부실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현재의 고금리 기조가 지속될 경우 기업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이 큰 국가 중 하나로 한국을 꼽았다.
29일 IMF에 따르면 한국에서 지난해 2분기까지 4개 분기 평균으로 ‘이자보상배율’(ICR)이 1보다 적은 기업 부채가 전체 기업부채의 22.1%였다. ICR이 1보다 적으면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다는 의미여서, 디폴트 위험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이런 한국의 기업부채 위험도는 세계 평균인 16.8%는 물론 아시아 평균인 13.95%보다 월등히 높다. IMF가 이번에 조사한 아시아의 12개 주요국 중에 해당 수치가 20%를 넘은 건 한국을 포함해 인도(31.1%), 태국(28.03%), 중국(25.8%), 인도네시아(22.7%) 등 5개국이었다. 일본은 15.8%였고, 필리핀(3.3%)·호주(6.3%)·싱가포르(6.6%)·홍콩(7.81%) 등은 10% 미만으로 양호했다.
IMF는 “아시아 각국의 정부·기업·소비자·금융회사의 차입금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훨씬 상회한다”며 “저금리 시기에 대출을 크게 늘린 산업군들이 특히 우려된다”고 평가했다. 또 “(아시아에서) 공통으로 부동산 및 건설 부문의 상당수 기업이 취약하다”고 했다.
IMF는 만일 각국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잡으려 높은 기준금리를 더 오래 유지해서 기업들의 대출 여건이 더 빡빡해지면 차입비용 상승으로 일부 기업이 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고 봤다. 또 최근 몇 년간 지속된 기업들의 보유 현금 증가로 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이 잠시 유예될 수 있지만, 이자보상배율이 낮은 기업은 보유 현금도 적은 게 일반적이라고 했다.
IMF는 “금융 감독 당국이 불확실성 증가와 높은 부채 부담, 부채 상환 비용 상승 등에 대해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며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하는 통화정책을 지속해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고금리에 차입비용 오르면 일부기업 디폴트 될수도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국제통화기금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29일 IMF에 따르면 한국에서 지난해 2분기까지 4개 분기 평균으로 ‘이자보상배율’(ICR)이 1보다 적은 기업 부채가 전체 기업부채의 22.1%였다. ICR이 1보다 적으면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다는 의미여서, 디폴트 위험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이런 한국의 기업부채 위험도는 세계 평균인 16.8%는 물론 아시아 평균인 13.95%보다 월등히 높다. IMF가 이번에 조사한 아시아의 12개 주요국 중에 해당 수치가 20%를 넘은 건 한국을 포함해 인도(31.1%), 태국(28.03%), 중국(25.8%), 인도네시아(22.7%) 등 5개국이었다. 일본은 15.8%였고, 필리핀(3.3%)·호주(6.3%)·싱가포르(6.6%)·홍콩(7.81%) 등은 10% 미만으로 양호했다.
IMF는 “아시아 각국의 정부·기업·소비자·금융회사의 차입금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훨씬 상회한다”며 “저금리 시기에 대출을 크게 늘린 산업군들이 특히 우려된다”고 평가했다. 또 “(아시아에서) 공통으로 부동산 및 건설 부문의 상당수 기업이 취약하다”고 했다.
IMF는 만일 각국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잡으려 높은 기준금리를 더 오래 유지해서 기업들의 대출 여건이 더 빡빡해지면 차입비용 상승으로 일부 기업이 디폴트에 빠질 수 있다고 봤다. 또 최근 몇 년간 지속된 기업들의 보유 현금 증가로 금리 인상에 따른 영향이 잠시 유예될 수 있지만, 이자보상배율이 낮은 기업은 보유 현금도 적은 게 일반적이라고 했다.
IMF는 “금융 감독 당국이 불확실성 증가와 높은 부채 부담, 부채 상환 비용 상승 등에 대해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며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하는 통화정책을 지속해 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