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외용선전 매체 우리민족끼리TV가 2017년 7월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서 활동하다가 재입북한 여성 전혜성을 출연시킨 모습. 장시 전씨는 “남한 TV들의 북한 소재 프로그램들이 날조극”이라고 비난했다. 전씨는 한국에서 임지현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이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7/10/SSC_20230710152753_O2.jpg)
![북한 대외용선전 매체 우리민족끼리TV가 2017년 7월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서 활동하다가 재입북한 여성 전혜성을 출연시킨 모습. 장시 전씨는 “남한 TV들의 북한 소재 프로그램들이 날조극”이라고 비난했다. 전씨는 한국에서 임지현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이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7/10/SSC_20230710152753.jpg)
북한 대외용선전 매체 우리민족끼리TV가 2017년 7월 북한을 탈출해 한국에서 활동하다가 재입북한 여성 전혜성을 출연시킨 모습. 장시 전씨는 “남한 TV들의 북한 소재 프로그램들이 날조극”이라고 비난했다. 전씨는 한국에서 임지현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이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서울신문 DB
매체는 탈북민 지원 단체 두리하나선교회의 천기원 목사가 탈북자들과 주고 받은 문자 메시지와 오디오 파일 등을 토대로 “중국 내 탈북자를 돕는 일이 불가능해졌다”며 두 건의 사례를 소개했다.
2019년 외화벌이를 위해 중국 둥베이 지역에 파견된 북한 엔지니어 A씨는 2021년 천 목사의 소셜미디어로 “(탈북 과정에서) 죽을지라도 단 하루라도 자유인으로 살고 싶다”고 도움을 청했다. 2018년 목숨을 걸고 북중 국경을 건넌 여성 B씨도 지린성 바이샨의 공안 간부에 팔려 사이버 성매매를 강요받다가 올해 1월 천 목사에 ‘SOS’를 보냈다.
수천 달러 수준이던 브로커 수수료가 코로나19 사태 뒤로 수만 달러로 뛰었지만 천 목사는 이들의 탈출을 돕고자 어렵사리 돈을 마련해 태국에 있는 브로커를 고용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의 끊임없는 신분증 검사와 정교해진 안면 인식 기술, 차량 검문 등을 모두 피할 수 없었다. A씨는 브로커와 함께 지린에서 체포됐다. 천 목사는 급하게 다른 브로커를 찾아 B씨 등 탈북 여성 3명을 산둥성 칭다오로 데려왔지만, 며칠 뒤 이들에 성매매를 강요하던 공안 간부가 은신처를 급습해 도로 잡아갔다. 새로 고용한 브로커가 돈을 받고 탈북 여성들을 도로 팔아넘긴 것으로 추측된다.
감염병 확산 전인 2019년만 해도 한국으로 탈출한 탈북자 수는 1047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63명으로 급감했다. 이날 미국의소리(VOA)방송은 “중국이 7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중화인민공화국 반간첩법’(방첩법) 개정안이 중국 내 탈북자 구출 활동을 원천 봉쇄하는 악법 중 악법이라는 우려가 나온다”고 비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