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낮은 격추율 원인은
“러, 타격 어려운 초음속 탄도 미사일 사용”
“서방의 첨단 패트리엇 방공시스템 공급 지연”
![우크라이나 경찰이 3일(현지시간) 하르키우 공터에서 러시아군 미사일 파편을 바라보고 있다. 2022.12.4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22/SSC_20231222101941_O2.jpg)
![우크라이나 경찰이 3일(현지시간) 하르키우 공터에서 러시아군 미사일 파편을 바라보고 있다. 2022.12.4 A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2/22/SSC_20231222101941.jpg)
우크라이나 경찰이 3일(현지시간) 하르키우 공터에서 러시아군 미사일 파편을 바라보고 있다. 2022.12.4 AP 연합뉴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유리 이흐나트 우크라이나 공군 대변인은 이날 현지 방송에서 “러시아는 7400발의 미사일을 발사했고 이 가운데 1600발은 우크라이나군이 격추했다”고 말했다.
그는 낮은 격추율에 대해 “러시아가 타격이 훨씬 더 어려운 초음속 탄도 미사일을 사용했으며 서방이 지원한 첨단 패트리엇 방공 시스템이 늦게 공급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흐나트 대변인은 러시아가 지난해 9월 이후 이란산 샤헤드 드론 3700대를 우크라이나 공격에 사용했으며 이 가운데 2900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매일 밤 10∼15개 지역에서 샤헤드를 격추하고 있다”며 “초기에 우리는 권총, 기관단총 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 드론을 쐈지만 목표물은 단순하지 않았고 실수가 잦았다”고 평가했다.
이날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은 올해 러시아 방공부대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 지역에서 6300개 이상 공중 목표물을 타격했으며 이 가운데 4600여개가 드론이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