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영 연합군, 후티 반군도 공습… 중동 역내 전쟁 확산엔 ‘선 긋기’

미영 연합군, 후티 반군도 공습… 중동 역내 전쟁 확산엔 ‘선 긋기’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4-02-05 02:27
업데이트 2024-02-05 0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군 3명 사망’ 관련 보복 공격
전날 민병대 타격… 38명 숨져
이란 직접 공격 시도하지 않아

미국이 주말 동안 연합군과 함께 이란 지원 이슬람 민병대 세력의 근거지 수십 곳을 타격한 데 이어 예멘 후티 반군의 근거지도 공습했다. 지난달 29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가자 전쟁 이후 처음 미군이 숨진 사건에 대해 보복 대응한 것인데, 이란을 직접 타격하거나 이란 지원을 받은 이슬람 민병대와 전면전에 나선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가 여전히 중동 역내 전쟁 확산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CNN 방송 등에 따르면 지난 2일(현지시간) 미영 연합군은 시리아와 이라크 내 이란혁명수비대(IRGC) 쿠드스군과 관련 민병대를 공습했다. 7개 지역 85곳 이상을 목표물로 설정해 30분 동안 타격했다. 시리아와 이라크에서는 이 공격으로 각각 23명, 15명이 숨졌다고 집계했다. 이번 공격에는 미국 본토에서 날아간 전략폭격기 B-1 랜서까지 동원했는데 미군이 동원할 수 있는 최대 공격력에는 한참 못 미친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어 미군은 3일 예멘 내 13개 지역에 있는 후티 반군 36개 시설을 타격했다. 미 중부 사령부는 후티의 미사일 시설 외에도 드론 저장 및 작전 장소, 레이더와 헬리콥터를 표적으로 삼았다고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날 공습에 호주, 바레인, 캐나다, 덴마크, 네덜란드, 뉴질랜드의 지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후티 공격에는 미군 USS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항모에서 발진한 FA-18 전투기를 비롯해 영국 전투기 타이푼 FGR4와 홍해상의 미군 구축함 USS 그래블리호 등이 동원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11일 후티 공습 이후 두 번째로 강력한 공격이라고 전했다.

다만 연이틀간의 공격이 보복 차원과 제한적인 제재라는 약간은 다른 성격을 띠고 있지만 이란과의 정면 대결을 피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CNN은 “보여 줄 수 있을 만큼 공격하되 상대가 반격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한 바이든 행정부의 계산된 선택”이라고 진단했다. 민주주의수호재단의 브래들리 보우먼 선임 국장도 영국 BBC에 사건과 공격 사이 시간차가 있었던 점을 언급하면서 “공격을 암시해 너무 강하지도, 너무 부드럽지도 않은 ‘골디락스’ 접근법을 채택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연이틀 이란의 지원을 받는 무장 단체들을 때린 데 대해 이란 외무부 대변인 나세르 카나아니는 성명을 내고 “미국의 또 다른 모험적이며 전략적인 실수”라고 말했다.
최영권 기자
2024-02-05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