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카오 사장 “중국 시장에서 예상한 것 이상의 침체 있었다”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작업. AFP 연합뉴스
8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가네보, 케이트 등의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한 카오는 지난해 10~12월 순이익은 전년 대비 49% 감소한 438억엔(3920억원)이라고 전날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보다 1.2% 감소한 1조 5325억엔(13조 7159억원), 영업이익은 45.5% 감소한 600억엔(5370억원)이었다.
하세베 요시히로 사장은 “중국 시장에서 예상한 것 이상의 침체가 있었다”라고 밝혔다. 아사히신문은 “중국에서 일본 화장품 불매가 계속되면서 카오 측이 홍보를 자제하고 있었는데 그 영향이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생활용품회사 프록터앤갬블(P&G)의 대표 화장품 브랜드인 ‘SK-II’의 중국 매출도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BBC에 따르면 P&G는 “지난해 10~12월 실적에서 SK-II 브랜드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감소했다”고 지난달 말 발표했다. P&G는 미국 기업이지만 SK-II가 일본에 본사를 두고 있어 중국 불매운동의 타깃이 됐다. P&G 관계자는 “중국 시장의 회복이 더딘데다 반일 감정이 영향을 미쳤다”라고 밝혔다.
도쿄전력의 오염수 관리도 부실하게 이뤄지면서 중국 등 주변국의 불안을 더 키울 것으로 보인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7일 오전 8시 55분쯤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정화 장치 세정 작업 중 건물 외벽의 배출구에서 오염수가 새어 나오는 것을 협력회사 작업원이 발견했다고 밝혔다.
배기구로 연결되는 배관 밸브가 열려 약 5.5t 분량의 오염수가 누출됐다. 작업원의 피폭은 없었지만 주변 환경의 약 240배에 해당하는 7만 2000cpm(분당 계측된 방사선 수)의 방사선이 측정됐다. 도쿄전력은 오염수가 토양에 스며들었을 것으로 보고 이 부분의 토양을 회수하기로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