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계의 창] “셰일플레이 생산 참여는 한국 기업·소비자에 기회”

[세계의 창] “셰일플레이 생산 참여는 한국 기업·소비자에 기회”

입력 2014-08-05 00:00
업데이트 2014-08-05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에너지 전문가 4인 현지 좌담

“셰일가스는 산업적 측면뿐 아니라 소비자 입장에서 한국에 좋은 기회입니다. 늦기 전에 잡아야 합니다.”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만난 에너지 전문가 4명은 한목소리로 이렇게 강조했다. 서울신문은 지난달 3일 휴스턴 총영사관에서 ‘미국의 셰일가스 붐’을 주제로 이들을 초청해 좌담회를 가졌다. 좌담회에는 조삼제 한·미에너지석유기술협회(KEPS) 회장, 찰스 라프코프 에너지 컨설턴트, 이영웅 재미한인해양엔지니어협회(KOEA) 회장(셸 팀장), 박석범 휴스턴 총영사가 참석했다. 셰일가스 시장의 전망과 한국 정부·기업을 위한 조언 등을 각각 들어봤다.
이미지 확대
휴스턴에서 활동하는 에너지 전문가 4명이 지난달 3일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조삼제 회장, 찰스 라프코프 컨설턴트, 이영웅 회장, 박석범 총영사.
휴스턴에서 활동하는 에너지 전문가 4명이 지난달 3일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의견을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조삼제 회장, 찰스 라프코프 컨설턴트, 이영웅 회장, 박석범 총영사.


■조삼제 회장 셰일가스·오일을 묶어 셰일플레이라고 하는데 개발 위험성이 낮고 수익성이 매우 높아 미국 내 관련 기업들이 모두 뛰어들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기술력이 있는 중소기업들이 셰일플레이를 메이저 기업들보다 먼저 발견, 개발을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 기업들은 아직 참여하지 않고 있어 안타깝다. 셰일플레이 개발에는 세 가지가 중요하다. 기술과 자원, 인력인데 글로벌 기업들은 이를 위해 수십 년 동안 투자하고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4~5년 지나면서부터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다. 미 48개 주에 셰일플레이 지역이 산재해 있는데 모두 개발 중이기 때문에 기회는 여전히 있다. 지분 투자를 통해 유정을 파서 운영하는 방법 또는 글로벌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와 함께 가스·오일 펌프 및 시추 파이프 등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포스코 등 철강회사들도 미국 내 관련 협회 등을 통해 기술 승인을 받으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많다. 셰일가스를 통한 액화천연가스(LNG)를 카타르 등 중동보다 미국에서 저렴하게 수입할 경우 기업뿐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유리하다. 셰일가스 개발·수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바로 ‘창조경제’다.

■라프코프 컨설턴트 셰일가스 개발로 메이저 석유회사들과 중소 회사들 간 경쟁과 협력이 가열되고 있다. 특히 메이저 석유회사들은 셰일가스 개발에 지난 10~15년간 시간과 자본을 투자했고 이번에 기회를 잡게 된 것이다. 이들은 향후 25~30년, 길게는 50년 이후에도 어떤 기회가 있을지 예측하면서 장기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미국 내 셰일가스 관련 회사만 2000개가 넘고 휴스턴이 속해 있는 텍사스 주에 1000개가 몰려 있다. 한국 기업들의 참여는 아직 많지 않은데 포스코와 현대, 삼성 등이 파이프와 펌프 등을 생산하기 때문에 미국 시장의 기준에 맞춰 제공한다면 엄청난 기회를 잡을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은 기술력이 있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경쟁할 수 있다고 본다.

■이영웅 회장 한국 기업들은 단기 투자에 그치는 경향이 있는데 3~4년 투자하면 돌아오는 것이 없다. 에너지 개발에는 중장기 투자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 한국 기업들은 열정은 있지만 기술적 측면에서 전문성이 없어 어디서 시작해야 할지 모를 때가 많다. 미 현지 전문가들과 접촉해 공동작업을 해야 한다. 다른 미 기업들과의 조인트 컨소시엄 참여가 절실하다. 휴스턴의 한국 기업 주재원들은 1~2년씩 체류하기 때문에 미 현지 네트워크 구축이 어렵다. 현지에서 이뤄지는 조인트 기술·운영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인재를 키워야 한다. 셰일플레이 시장은 직접 개발뿐 아니라 관련 인프라, 기술 시장도 수익성이 훨씬 높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박석범 총영사 한국 기업들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지만 갈 길은 멀다. 현재 가스공사, 석유공사, SK, 삼성 등이 참여하고 있고 조만간 셰일가스 수입도 이뤄질 것이다. 한국 기업들은 기술과 전문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직접 개발보다는 파트너 형태로 참여하고 있다. 큰 프로젝트는 아직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파트너로 참여해 리스크를 줄이려는 것이다. 앞으로 직접 공장을 세워 생산하는 운영자로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대기업뿐 아니라 벤처기업 등 중소기업의 참여가 이뤄졌으면 한다. 의지와 기술력, 인력을 갖춘 한국 기업이 현지에 직접 와서 생산 과정에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다. 철강 회사들도 셰일가스 개발에 맞는 파이프 등의 공급이 가능하다면 더 큰 시장이 열릴 것이다. 소비자 측면에서 셰일가스 도입은 70~80%에 달하는 중동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에서 벗어나 저렴한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셰일가스는 한국에 기업 진출뿐 아니라 값싸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원이 된다는 점에서 ‘게임 체인저’다. 한국 정유업계에는 도전과 동시에 기회가 될 것이다.

글 사진 휴스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08-05 1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