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후 美대선 가상대결… “트럼프, 바이든 더 앞섰다”

2년 후 美대선 가상대결… “트럼프, 바이든 더 앞섰다”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07-02 10:59
수정 2022-07-02 1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이든 지지율, 한 달 전보다 3%P 하락
“둘 다 재선 도전 말아야” 여론조사도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전 미국 대통령. AP·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전 미국 대통령. AP·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으로 차기 미국 대선 가상대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의 격차를 벌리며 앞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현지시간) 미국 정치전문매체 더힐 등에 따르면 에머슨 대학이 지난달 28~29일 미국 내 성인 12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오차범위 ±2.7%) 결과 2024년 대선 가상대결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39%, 트럼프 전 대통령은 44%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지난달 1일 공개한 조사와 비교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지지율은 44%로 같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율은 42%에서 3%포인트 낮아졌다.

이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직무수행 지지율은 40%로 집계됐다. 53%의 응답자는 바이든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일리노이주 멘든의 애덤스 카운티 페어그라운드에서 열린 보수 집회 ‘세이브 아메리카 랠리’(Save America Rally)에 참석해 지지자들을 향해 모자를 던지고 있다. 2022.6.25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일리노이주 멘든의 애덤스 카운티 페어그라운드에서 열린 보수 집회 ‘세이브 아메리카 랠리’(Save America Rally)에 참석해 지지자들을 향해 모자를 던지고 있다. 2022.6.25 AFP 연합뉴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하원 특위의 공개청문회로 1·6 의사당 폭동 책임론에 휩싸여 있지만, 그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년 대선에 출마할 경우 하원 특위의 공개청문회가 투표에 미칠 영향을 묻는 말에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은 35%였다. 32%는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으며 28%는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봤다.

차기 대선 후보와 관련, 민주당 지지자의 64%는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했지만 36%는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도전에 반대했다.

공화당 지지자의 경우 차기 대선 후보로 트럼프 전 대통령을 꼽은 응답자가 55%로 가장 높았다. 론 디샌티스 플로리다 주지사(20%),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9%) 등이 뒤를 이었다.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가 열린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옌스 스톨텐베그르(오른쪽) 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하고 있다. 2022.6.29 로이터 연합뉴스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가 열린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옌스 스톨텐베그르(오른쪽) 나토 사무총장과 회담하고 있다. 2022.6.29 로이터 연합뉴스
또 다른 여론조사에서는 응답자 상당수가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모두의 재선 도전에 반대하고 있다는 결과도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하버드캡스·해리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1%는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 도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무능한(bad) 대통령이기 때문’(45%), ‘나이가 너무 많다’(33%) 등 답변이 나왔다.

응답자의 61%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선 도전을 해선 안 된다’고 답했다. ‘괴짜이기 때문’[(36%) ‘나라를 분열시킬 것이기 때문’(33%) ‘1·6 의사당 폭동 사태에 책임이 있기 때문’(30%) 등 이유를 꼽았다.

이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60%는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이 차기 대선에서 재대결을 벌일 시 온건 성향의 무소속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