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안보통… 민주 약세 속 당선
‘순자씨’도 하원의원 재선 확정
하와이 첫 한인 부지사도 탄생

연합뉴스

앤디 김 미국 하원의원
연합뉴스
연합뉴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미국 중간선거에서 뉴저지주 3선거구에 출마한 김 의원은 95% 개표 상황에서 54.9%를 득표해 승리를 굳혔다. 그는 “투표용지에서 내 이름을 보면 언제나 겸허해진다. 내가 초중고교를 다녔고, 지금 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는 지역구를 위해 일하는 건 일생의 영광”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한국계 미 3선 연방의원 탄생은 1996년 김창준(공화당) 전 의원 이후 26년 만이다. 이민 2세로 2018년 11월 의회에 입성한 김 의원은 ‘아메리칸드림’의 대표적 성공 사례다. 2009년 이라크 전문가로 미 국무부에 입성한 뒤 2013~2015년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이라크 담당 보좌관을 지낸 중동 안보통이다. 민주당 지지율이 약세인 데다 백인 인구가 76%인 뉴저지 3선거구에서 승리한 것은 큰 성과다. 특히 선거에 불리할 수 있는 한국계 혈통을 숨기지 않은 채 선거운동 홈페이지에도 “난 미국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인 이민자들의 아들”이라고 소개할 정도로 자부심을 보였다. 지난해 1월 초 도널드 트럼프 당시 공화당 대선후보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한 워싱턴DC 의사당 난입 사태 후 홀로 쓰레기를 치우던 인상적인 모습이 정치적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연합뉴스

매릴린 스트리클런드 미국 하원의원
연합뉴스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실비아 장 루크(왼쪽) 하와이주 부지사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2022-11-1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