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한국과 긴밀한 과학 연구 협력 지속되길 희망”

美 국무부 “한국과 긴밀한 과학 연구 협력 지속되길 희망”

최영권 기자
최영권 기자
입력 2025-03-20 18:03
수정 2025-03-21 05: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민감국가 지정 질문에는 즉답 피해
안덕근 “지정 해제 등 대안 찾을 것”

이미지 확대
미국 에너지부가 14일(현지시간)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에 포함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사진은 미 워싱턴DC에 있는 에너지부 전경.  UPI 연합뉴스
미국 에너지부가 14일(현지시간)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에 포함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사진은 미 워싱턴DC에 있는 에너지부 전경.
UPI 연합뉴스


미국 국무부는 한국이 미 에너지부의 민감국가 리스트에 추가된 것과 관련해 “견고한 과학적 연구 분야에 대한 한국과의 협력이 계속되길 고대한다”고 말했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19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에 올린 이유를 묻는 말에 “에너지부가 지정한 것이므로 에너지부에 문의해 달라”고 말한 뒤 이같은 입장을 냈다. 그는 또 “미국은 과학적 연구 협력에서 한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매우 중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 에너지부는 지난 1월 초 바이든 정부 때 한국이 민감국가 리스트에 추가됐으며 다음달 15일부터 시행된다고 최근 밝혔다. 이 리스트 포함이 확정되면 에너지부 관련 시설이나 산하 연구기관 방문, 이들 기관과의 공동 연구 등을 위해 에너지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한국 정부가 이런 사실을 뒤늦게 파악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다만 미국은 이번 사안이 외교 사안이 아니라 보안 문제이며 과도하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조셉 윤 주한 미국대사대리는 지난 18일 “한국이 (민감국가) 명단에 오른 것은 일부 민감한 정보에 대해 부주의하게 취급한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라면서 “한국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에너지부의 보안과 관련된 문제”라고 설명했다.

3주 만에 대미 협상을 위해 미 워싱턴DC를 다시 방문하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0일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국의 민감국가 지정 해제를 포함해 최대한 이 문제가 산업계의 기술 협력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대안을 찾아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03-2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