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품 좋아졌다” 中고객 북적…北 100개업체 500여명 판촉 열기

“조선 제품 좋아졌다” 中고객 북적…北 100개업체 500여명 판촉 열기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10-15 23:16
업데이트 2015-10-16 1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류윈산 방북 직후 100년 만에 재개한 中호시무역 현장

15일 새벽, 제법 쌀쌀한 기운 속에서 찾은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시 중조우의교(압록강철교). 단둥 시내는 벌써 깨어났지만 다리 너머 북한 신의주는 아직 잠을 자고 있었다. 오전 9시 북한에서 화물을 실은 차량이 통행 허가를 받고 건너오기 전까지 압록강철교도 계속 늦잠을 잤다.
이미지 확대
15일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에서 열린 제4회 조·중 경제무역문화관광박람회장에 중국인 고객들이 몰려 북한산 상품을 둘러보고 있다. 최근 북·중 관계의 훈풍이 경제 교류로 연결되고 있다.
15일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에서 열린 제4회 조·중 경제무역문화관광박람회장에 중국인 고객들이 몰려 북한산 상품을 둘러보고 있다. 최근 북·중 관계의 훈풍이 경제 교류로 연결되고 있다.


압록강변을 따라 승용차로 10분을 달리니 황금평에 이르렀다. 평야처럼 보이는 이곳은 오랜 퇴적으로 단둥과 맞닿은 압록강 하류의 북한 섬이다. 양국이 14.4㎢에 이르는 경제특구로 조성하기로 했던 지역이다. 하지만 특구를 건설하는 망치 소리는 여전히 들리지 않는 대신 북한 주민들이 평야로 나와 벼를 베고 있었다.

잠자는 철교와 평야를 뒤로하고 향한 곳은 단둥의 신개발지 궈먼(國門)항 광장. 거리 곳곳에서 나부끼는 깃발과 현수막은 북한과 중국 사이에 큰 장이 섰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었다. 궈먼항 국제무역센터에서 개막한 ‘중·조 경제무역문화관광박람회’. 올해로 4회째인 이 박람회는 양국이 공동 개최하는 유일한 종합박람회로 오는 18일까지 계속된다.

박람회장은 인산인해를 이뤘다. 대만, 몽골, 러시아, 태국, 베트남 기업의 부스도 있었지만, 가장 붐비는 곳은 북한 부스였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여종업원들은 상품을 진열하고 판매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룡보 담배’를 파는 조선신흥무역총회사의 지배인은 “지난해보다 중국 손님이 두 배는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피혁 제품을 파는 조선릉라도무역총회사의 여직원은 구두를 들고 “이것은 양가죽 구두이고 저것은 소가죽으로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두를 사러 나왔다는 한 중국인은 “조선 제품이 해가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유일의 철강수출입회사라는 흑색금속수출입회사의 관리인은 “올해 처음으로 박람회에 참여했다”면서 “조선 회사들이 중국 시장을 확보하기 위해 속도를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부스를 마련한 북한 무역회사는 100여개. 어림잡아 500명이나 되는 북한 직원들은 모처럼 불고 있는 북·중의 훈풍을 놓치지 않으려는 듯 물밀듯이 몰려오는 중국인 손님을 향해 손짓하고 있었다.

단둥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10-16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