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늦은 中 ‘우한 봉쇄’… ‘폐렴’ 통제 불능 우려

때늦은 中 ‘우한 봉쇄’… ‘폐렴’ 통제 불능 우려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1-24 02:44
수정 2020-01-24 03: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634명 감염… 자금성 무기한 폐쇄

사우디 첫 확진… 중남미·유럽 의심 환자
오늘부터 인천~우한 항공편도 올스톱
이미지 확대
봉쇄 앞두고 중국 우한 떠나 시드니 도착한 승객들
봉쇄 앞두고 중국 우한 떠나 시드니 도착한 승객들 중국 우한에서 출발한 여객기 승객들이 23일 마스크를 착용한 채 호주 시드니 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이들이 타고 온 항공편은 우한 폐렴 봉쇄 조치가 내려지기 전 마지막으로 운항된 항공편의 하나로, 호주 당국은 의심 증상자는 없었다고 밝혔다.
시드니 AFP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우한 폐렴’이 걷잡을 수 없이 퍼지자 중국 당국이 23일 발병지인 후베이성 우한에 전격적으로 봉쇄령을 내렸다. 하지만 이날 중국에서만 감염자가 634명에 달했고, 지구 반대쪽 미국에 이어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첫 감염자가 나오면서 우한 폐렴이 사실상 통제불능 상태에 빠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남미와 유럽에서는 다수의 의심 환자가 보고됐다.

이날 인민일보 등에 따르면 우한시 정부는 새벽 긴급 성명을 내고 “오전 10시부터 항공편과 기차, 지하철 등 모든 대중교통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4일부터 인천~우한을 오가는 항공편 운항도 잠정 중단된다. 허베이성 당국은 우한에서 48㎞ 떨어진 도시 황강과 어저우 등에도 봉쇄령을 내렸다. 베이징의 관광 명소인 자금성은 오는 25일부터 무기한 폐쇄한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중국 정부의 늑장·부실 대처로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당국이 우한 폐렴 발생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것은 지난해 12월 31일이다. 거의 한 달이 다 돼서야 진원지 차단에 나서는 등 초기 대응 실패로 ‘팬데믹’(대유행) 우려가 커지고 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20-01-2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