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원한 친구’는 없다? 시진핑, 푸틴 향해 “의문과 우려”

‘영원한 친구’는 없다? 시진핑, 푸틴 향해 “의문과 우려”

입력 2022-09-16 12:42
업데이트 2022-09-16 13: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진핑, 우크라이나 침공에 “의문과 우려”
푸틴, 이례적으로 시진핑 발언 공개
‘영원한 친구’라던 러·중, 전쟁 장기화에 불협화음
“중앙아시아 패권 다툼 전조” 분석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에 즈음해 두 손을 맞잡고 있다. 두 지도자는 15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막을 올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담에서 양자 회담을 갖는다.AFP 자료사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에 즈음해 두 손을 맞잡고 있다. 두 지도자는 15일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막을 올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담에서 양자 회담을 갖는다.AFP 자료사진
 국제사회에서 ‘영원한 친구’를 자처하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뜻밖의 균열을 드러냈다. 시 주석이 푸틴 대통령을 향해 ‘우려’를 표명하고, 푸틴 대통령이 이를 대외에 공개하면서, 우크라이나 침공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러시아가 강력한 우방인 중국과 불협화음을 낳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시진핑, 푸틴 향해 “의문과 우려”
 
이미지 확대
7개월 만에 만난 푸틴·시진핑… 바이든 보란 듯 ‘반미 밀착’
7개월 만에 만난 푸틴·시진핑… 바이든 보란 듯 ‘반미 밀착’ 15일 제22회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차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를 방문한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회의장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지난 2월 4일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식 회동 이후 7개월 만에 다시 만난 중러 정상은 이날 별도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대만해협 긴장 고조 상황에서 ‘반미’를 고리로 서로의 입장을 직간접적으로 지지했다.
사마르칸트 타스 연합뉴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개막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시 주석과 만나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우리는 중국의 균형 잡힌 입장을 높이 평가한다”면서 “이 문제에 대한 시 주석의 의문과 우려를 이해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대만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상대 측의 입장에 대한 지지 표명을 잊지 않았다. 시 주석은 “대국의 책임을 보여주기 위해 러시아와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굳게 고수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시 주석이 우크라이나 침공을 둘러싸고 푸틴 대통령을 향해 ‘우려’를 밝히고, 푸틴 대통령이 껄끄러운 발언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등 주요 격전지에서 패배하며 체면을 구기는 상황에서 ‘영원한 친구’를 자처한 양국이 이같은 불협화음을 공개적으로 드러내면서 더욱 의문을 자아내고 있다. 중국이 정상회담에 대해 자국에 공개한 보도문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언급을 뺀 데 대해서도 중국의 의도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시 주석은 변덕스럽고 타협적이지 않으며, 푸틴 대통령은 시 주석의 비위를 맞추는 데 열심인 듯하다”고 덧붙였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시 주석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우려를 갖고 있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나, 푸틴 대통령이 이를 인정하는 것은 다소 의아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시 주석의 ‘우려’ 발언을 공개하면서 중국을 향해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시진핑이 푸틴 질책 … 전쟁 장기화에 중국 불만”
 
이미지 확대
7개월 만에 만난 푸틴·시진핑… 바이든 보란 듯 ‘반미 밀착’ 
7개월 만에 만난 푸틴·시진핑… 바이든 보란 듯 ‘반미 밀착’  제22회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차 우즈베키스탄을 찾은 시진핑(오른쪽)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5일 사마르칸트 리젠시 호텔에서 별도 정상회담을 갖고 전략적 공조 의지를 다졌다. 지난 2월 4일 베이징동계올림픽 개막식 회동 이후 7개월 만에 다시 만난 중러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및 대만해협 긴장 고조 상황에서 ‘반미’를 고리로 서로의 입장을 직간접적으로 지지했다.
사마르칸트 타스 연합뉴스
 미 뉴욕타임스(NYT)는 시 주석의 ‘우려’ 발언이 푸틴 대통령을 향한 질책의 의미일 수 있다는 학자들의 분석을 전했다. 세르게이 라드첸코 미 존스홉킨스대 국제고등대학원 교수는 “중국은 러시아가 대국처럼 행동하지 않고 국제사회에 불안을 조성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면서 “우크라이나 침공이 낳은 전세계 식량 및 에너지 시장의 교란은 중국의 경제 성장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중국은 러시아의 전쟁을 해롭다고 여기고 있다”고 분석했다. 스인홍 중국 베이징인민대학 교수는 “양국 간의 전략적 관계에 대해서 시 주석이 이렇게 신중하고 저자세적인 발언을 한 것은 수년 만”이라고 평가했다.

 영국 BBC는 국제 정치에서 ‘BFF(Best friend forever·영원한 친구)’는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러·중 관계는 러시아가 중국의 후순위 파트너일 뿐인 불평등한 관계라고 지적했다. 지난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 당시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열고 국제사회를 향해 양국이 ‘영원한 친구’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뒤 중국은 러시아의 전쟁을 지지하는 발언을 삼가는 한편 러시아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하지 않았다. 중국은 대신 러시아로부터 에너지를 수입하고 자동차 등을 수출하는 등 러시아가 서방의 경제 제재로부터 회피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간접 지원했다.

 그러나 이같은 균열이 러시아의 전쟁을 중단시키거나 발목을 잡을 정도의 타격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라드첸코 교수는 “푸틴은 무모하다”면서 “푸틴은 중국이 자국을 인정하지 않을 위험을 감수할 용의가 있다”고 지적했다.

 러·중, 중앙아시아서 패권 다툼 분석도
 중국이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벌일 패권 경쟁의 전조라는 분석도 나온다. 상하이협력기구는 러시아와 중국, 중앙아시아 4개국(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 및 인도, 파키스탄이 포함돼 있다. 러시아는 구소련 구성원이었던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안보 동맹을 자처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이 지역에서의 영향력이 흔들리고 있다.

 러시아와 서방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추구해온 ‘중앙아시아의 맹주’ 카자흐스탄은 최근 수년 사이 문화적으로 ‘탈(脫) 러시아’를 추구해왔으며,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사회에서 러시아와 거리두기를 하고 있다.

 중국의 입장에서 카자흐스탄은 에너지와 안보 차원에서 중요한 요충지다. 카자흐스탄은 중국 및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또 송유관을 통해 중국에 석유를 공급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에 매장된 방대한 우라늄은 중국이 추진하는 원자력발전소에 중요하다. 중국은 2013년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 방안을 담은 ‘신(新)실크로드 경제권’ 구상을 발표하고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인프라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32개월 만에 외국 방문에 나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첫 방문지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점찍고, 14일 사마르칸트에 도착한 시 주석을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직접 영접한 것도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깊어지는 밀월 관계를 드러낸다는 분석이 나온다. 키르기스스탄 싱크탱크인 OSCE 아카데미의 니바 야우 선임연구원은 영국 가디언에 “중국은 대만과의 분쟁이 커질 때마다 중앙아시아로 방향을 튼다”고 지적했다.
김소라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