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푸틴 궁전? 제 건데요” 죽마고우 올리가르흐 로텐버그가 나서

“푸틴 궁전? 제 건데요” 죽마고우 올리가르흐 로텐버그가 나서

임병선 기자
입력 2021-01-31 06:49
업데이트 2021-01-31 06: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의 궁전으로 알려진 부동산이 자신의 소유라고 해명하고 나선 어린 시절 친구 아르카디 로텐버그가 지난해 3월 18일 러시아가 병합한 크림 반도와 러시아를 잇는 19㎞ 길이의 도로와 철로를 건설한 공로로 세바스토폴에서 노동영웅 메달을 수여받은 뒤 손을 맞잡고 있다. EPA 자료사진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의 궁전으로 알려진 부동산이 자신의 소유라고 해명하고 나선 어린 시절 친구 아르카디 로텐버그가 지난해 3월 18일 러시아가 병합한 크림 반도와 러시아를 잇는 19㎞ 길이의 도로와 철로를 건설한 공로로 세바스토폴에서 노동영웅 메달을 수여받은 뒤 손을 맞잡고 있다.
EPA 자료사진 연합뉴스
“‘푸틴 궁전’이라고요. 그거 제 건데요.”

러시아 올리가르흐(재벌) 아르카디 로텐버그가 크렘린에 맞선 야권 지도자 알렉세이 나발니가 최근 동영상을 통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소유라고 밝혀 화제가 된 흑해 연안의 호화 별장 소유주라고 뒤늦게 밝혔다. 로텐버그가 워낙 푸틴과 막역한 사이라 30일(이하 현지시간) 그의 공개 천명을 러시아 국민들이나 전 세계 사람들이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믿어줄까 싶기는 하다. 푸틴 대통령도 이번 주초 자신의 소유가 아니라고 부인했다.

로텐버그는 친크렘린 성향의 매시 텔레그램 채널과 인터뷰를 통해 처음으로 이런 내용을 밝혔고, 나중에 인테르팍스 통신이 확인해줬다. 로텐버그의 홍보팀은 그가 “몇년 전 채무자의 빚을 받아내야 했다. 해서 이곳을 내 소유로 하게 됐다”고 말했다고 대신 전했다. 그는 나아가 이 부동산이 “내후년이나 그 뒤” 완성되면 아파트형 호텔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나발니의 석방을 요구하던 시위에서 이 별장이 푸틴 대통령의 소유로 알려지고 그의 숨겨진 딸이 사치를 일삼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위 양상이 조금 바뀌고 31일 더 큰 규모로 전국적인 시위가 예정된 상황에 로텐버그의 주장이 나왔다. 나발니 측 계산대로라면 이 부동산의 가치는 10억 파운드(약 1조 5300억원)에 이르러 “역사상 가장 큰 뇌물”로 제공된 것이다.

푸틴 대통령과 어린 시절부터 죽마고우였으며 유도 파트너였던 로텐버그는 다리와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같은 인프라 구축으로 큰 돈을 벌어 들인 거대 건설회사 소유주다. 로텐버그와 형제들은 지난해 말 러시아 기업인들이 미국의 제재에도 영국 등에서 돈세탁을 해 빠져나갔다는 시살이 담긴 이른바 ‘핀센(FinCEN) 파일’에 이름을 올렸다. 2014년부터 미국 제재 명단에 이름을 올렸는데 미국 행정부 관리들은 그를 “러시아 지도부의 이너서클”이며 “푸틴의 반려견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사실 이 수상쩍은 궁전을 맨처음 보도한 것은 영국 BBC의 팀 훼웰이었으며 2012년이었다. 푸틴 대통령의 사업 파트너 출신의 말을 인용해 푸틴이 개인적으로 쓰려고 지어지고 있다고 폭로했는데 당시도 대변인이 이런 의심을 일축했다. 지난 주초에도 푸틴 대통령은 즉각 부인하며 그와 그의 가족 누구도 소유하지 않고 있으며 나발니의 동영상은 “지겹다”고 했다.

틱톡 등 소셜미디어에서 나발니의 호소 “거리로 나와달라”가 먹혀 시위와 집회가 열린 도시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4000명 이상이 체포됐다. 그의 동생을 비롯한 측근 여러 명이 구금됐고, 록밴드 푸시 라이엇 출신 활동가 마리아 알요키나 등이 가택연금됐다. 인권 전문 홈페이지를 편집하던 세르게이 스미르노프도 이날 자택 앞에서 검거됐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