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럽가스관 움켜쥐고, 제국의 부활 꿈꾸는 ‘차르’ 푸틴의 야욕

유럽가스관 움켜쥐고, 제국의 부활 꿈꾸는 ‘차르’ 푸틴의 야욕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01-09 22:30
업데이트 2022-01-10 09: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 미국과 담판 앞두고 광폭행보

푸틴 한마디에 천연가스값 ‘출렁’
가스프롬, 순이익 최대·주가 ‘껑충’
서방은 ‘에너지 고립’ 위협에 직면
우크라 사태 경고·대화책 동시에
美 고위급 “상호 군사적 제한 용의”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 21일 유럽 천연가스 가격은 하루 만에 23% 치솟아 역사상 최고가를 찍었다. 러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가스프롬이 ‘야말·유럽 가스관’ 수송물량 경매에 불참해 가스 공급이 중단되자 생긴 일이었다. 유럽에는 겨울철 가스 대란 공포가 번졌다. 불과 두 달 전엔 정반대의 상황이 벌어졌다. 유럽연합(EU)에 더 많은 가스를 보내라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지시 한마디에 천연가스 가격은 이틀 사이 25% 폭락했다. EU 가스 수입량의 40% 이상을 책임지는 ‘천연가스 패권국’ 러시아의 힘이 여실히 드러난 장면이었다.

1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미러 협상을 앞두고 최근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는 푸틴 대통령에게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앞마당’ 우크라이나에 대한 장악력을 다시 높이려는 움직임 뒤엔 옛 소련 시절 영광을 꿈꾸는 푸틴 대통령의 야망이 도사린다. 그리고 그의 손엔 천연가스라는 강력한 무기가 들려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국경지대의 군사적 긴장감은 러시아와 독일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해저 가스관 노르트스트림2 개통과 무관하지 않다. 2014년 크림반도 병합에서 경험했듯 러시아의 침공 가능성을 두려워하는 우크라이나는 노르트스트림2 개통으로 유럽에 대한 자국의 ‘에너지 생명줄’ 지위가 사라질 것을 우려한다. 만일의 사태가 벌어질 경우 서방이 적극적으로 개입할 이유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2024년을 끝으로 가스 경유 계약이 갱신되지 않으면 사라질 연 20억~30억 달러의 수수료도 중요한 이유다.

반면 유럽을 상대로 가스 패권을 확대하려는 러시아엔 수송로 다변화 및 물량 증대가 중요한 만큼 우크라이나의 움직임은 눈엣가시다. 우크라이나 국경에 10만 병력을 배치한 것은 이에 대한 경고의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연일 대담해지는 러시아의 광폭 행보는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이 이끌 경제 회생에 대한 자신감이 뒷받침하고 있다. 지난해 세계경제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기지개를 켜면서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자 가스프롬은 사상 최대 순이익을 냈고 주가는 1년 사이 60% 넘게 뛰었다.

10일 미러 담판을 앞두고 서방은 연일 러시아에 강력한 경고와 대화 촉구 메시지를 동시에 보내고 있다. 8일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우리는 서로의 영토에 근접한 전략 폭격기와 훈련의 규모·범위를 상호 제한할 가능성을 모색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등 옛 소련권 국가에 공격무기를 배치하지 말라는 러시아의 안전보장 요구를 논의할 여지를 열어 둔 셈이다.

다만 러시아가 가장 강력하게 요구하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금지에 대해선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전날 “개방성은 나토 조약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강력한 경제 제재를 가한다는 입장도 여전하다.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미러 협상에는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이 미국 측 대표로, 세르게이 랴브코프 외무차관이 러시아 대표로 나선다. 이어 12일에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나토와 러시아위원회(NRC)가, 13일에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와 러시아의 협상이 예정돼 있다.
이정수 기자
2022-01-10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