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베이조스 요트 위해 다리 해체, 결정 안돼” 1000여명 “썩은 달걀 던질게”

“베이조스 요트 위해 다리 해체, 결정 안돼” 1000여명 “썩은 달걀 던질게”

임병선 기자
입력 2022-02-05 11:53
업데이트 2022-02-05 1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FP 자료사진
AFP 자료사진
네덜란드 로테르담 시장이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소유의 초대형 요트가 대서양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144년 된 다리의 철도 교량을 해체했다가 다시 조립하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라고 직접 부인하고 나섰다. 이 도시에 사는 1000명 이상은 베이조스의 요트가 만약 이 다리 아래를 지나가면 썩은 달걀을 집어던지는 데 동참하겠다고 서명한 상태라고 미국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4일(현지시간) 전했다.

로테르담 항구 안에 있는 코닝스하벤 다리를 놓고 연일 입씨름이 한창이다. 이 다리는 1878년에 처음 들어섰고, 1927년 철도 교량이 깔렸다. 한가운데 상단에 매달린 철도 교량이 기둥을 따라 내려와 강으로 분리된 양측의 통행을 이어주고, 배가 수로를 지나갈 때는 반대로 교량이 올라가게 만들어졌다.

2차 세계대전 때 나치의 폭격에 무너졌다가 전쟁이 한창이던 1940년에 재건됐다. 1993년에 다른 열차 노선이 생겨나 열차는 더 이상 이 다리를 지나가지 않고 있고, 1994년 국가 지정 문화재가 됐다. 시 당국이 쓸모가 없어졌다거나 흉물스럽다는 이유를 내세워 철거하려 했지만 번번이 주민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 주민들은 이 도시와 이 항구의 명물이 됐다며 애착을 보였다.

그런데 최근 로테르담시 대변인이 마스트의 높이가 40m를 넘는 베이조스의 초대형 요트가 올 여름 건조되면 대서양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이 다리를 임시 철거하겠다고 밝혀 다시 입길에 올랐다. 현지에서는 오래 전부터 떠들썩한 논란이 됐는데 베이조스가 2013년 인수한 미국 일간 워싱턴 포스트(WP)가 2일(현지시간) 보도함으로써 세계 매체들의 눈길을 붙들었다. 이 신문 임직원들은 편집권 독립을 지키고 있음을 안팎에 각인시키고 과시하려는 듯 미국 매체로는 가장 앞장 서 고발하고 있다.

로테르담시에 베이조스의 요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요청한 것은 요트를 건조 중인 조선회사 오션코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 대변인은 “이 길이 (요트가) 바다로 향할 수 있는 유일한 경로”라면서 어차피 나중에 베이조스가 철거 비용을 댈 것이기 때문에 특혜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딴에는 베이조스에게 특혜 불똥이 튀는 것을 막겠다고 한 발언이었는데 오히려 주민들의 극심한 반발을 불러왔다.

WP 보도에 따르면 시 당국의 철거 허가가 떨어지지 않으면 오션코는 요트를 절반 정도 건조한 뒤 코닝스하벤 다리를 통과한 뒤 다른 곳에서 최종 완성하겠다며 다리의 부분 철거가 꼭 필요하다고 시 당국을 압박했다. 시 대변인은 “경제적 관점에서 (요트 건조 작업에 따라) 창출되는 고용에 크게 중점을 뒀다”면서 요트 건조를 지역 안에서 끝까지 진행시키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철거한 뒤에 다리를 다시 최신식으로 복원하겠다고 덧붙인 것은 물론이었다.

아메드 아부탈렙 로테르담 시장은 지난 3일 다리를 해체하겠다는 어떤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으며 만약 그렇게 되면 베이조스나 오션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미국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다음날 전했다. 사실 아부탈렙 시장의 발언은 완전한 부인이라기보다 비용 문제를 확실히 하자는 취지로도 받아들일 수 있겠다.

지역사회에서는 문화재를 훼손하는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로테르담역사학회 회장인 톤 베세린크는 “일자리도 중요하지만, 우리의 산업 문화재가 얽히게 되면 일자리를 위해 내릴 수 있는 조치에도 제한이 있다”고 우려했다.

베이조스의 요트는 현재 코드명 Y721로 불리며 건조되고 있는데 건조 작업을 마치면 가치가 4억 8500만 달러(약 5846억원)로 추산되며, 선박 전문 매체 보트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127m 길이로 세계 최고 크기의 요트가 된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