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흑인·다종교 등장한 ‘찰스 3세 대관식’… 군주제 논란 숙제도

여성·흑인·다종교 등장한 ‘찰스 3세 대관식’… 군주제 논란 숙제도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3-05-07 18:45
수정 2023-05-08 0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1년 만에 열린 英대관식

역대 처음 제단 무릎 꿇고 기도문
“내가 모든 믿음에 축복이 되기를”
‘흑인 여성’이 국왕 비둘기 홀 들어

반대 시위자들 “나의 왕 아니다”
영연방 12개국 원주민 지도자들
“사과·배상 촉구” 서한에도 ‘무시’
이미지 확대
찰스 3세 영국 국왕(오른쪽)과 커밀라 왕비가 6일(현지시간) 런던 버킹엄궁 발코니에서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런던 AP 연합뉴스
찰스 3세 영국 국왕(오른쪽)과 커밀라 왕비가 6일(현지시간) 런던 버킹엄궁 발코니에서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고 있다.
런던 AP 연합뉴스
71년 전인 네 살 때 본 어머니 엘리자베스 2세(1926~2022)의 대관식을 또렷하게 기억하는 영국 찰스 3세가 “신이시여 국왕을 지켜 주소서”란 외침 속에 5파운드(2.23㎏)짜리 왕관을 머리에 썼다.

1952년 2월 어머니의 대관식 날 때처럼 비가 내리는 6일(현지시간)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치러진 대관식에서는 왕실을 반대하는 이들의 “나의 왕이 아니다”란 구호도 울려 퍼졌다.
이미지 확대
찰스 3세가 대관식이 거행된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국 국교회의 저스틴 웰비 캔터베리 대주교로부터 수여받은 왕관을 쓰고 있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찰스 3세가 대관식이 거행된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국 국교회의 저스틴 웰비 캔터베리 대주교로부터 수여받은 왕관을 쓰고 있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찰스 3세는 ‘정복왕’ 윌리엄 1세가 1066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을 연 후 1000년 가까이 이어져 온 전통의 틀을 따르면서 새 시대가 원하는 군주상을 담으려 했다. 특히 역대 국왕 가운데 처음으로 제단 앞에 무릎을 꿇고 “내가 모든 믿음과 신앙에 축복이 될 수 있기를”이란 특별 기도문을 낭독했다.

찰스 3세는 또 귀족보다는 사회 엘리트 중심으로 2300여명의 대관식 초청 명단을 결정했는데 이는 1952년 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의 8000여명보다 대폭 줄어든 인원이다. 대관식에 가장 먼저 입장하는 성직자 행렬에는 국교회 외에도 이슬람, 힌두, 시크, 유대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 지도자들이 최초로 동참했다.
이미지 확대
여성 사제가 대관식 역사상 처음 참석하고, ‘흑인 여성’ 플로라 벤저민 남작이 국왕의 비둘기 홀을 드는 등 여성, 흑인, 다종교 등이 대관식 주요 장면마다 ‘상징’이 됐다. 영어 외에 웨일스어 등 다른 언어로도 찬송가를 합창했다. 줄리언 페인 전 영국 왕실 공보관은 일간 더 타임스를 통해 이는 화합과 조화를 낳으려는 찰스 3세의 의도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세금으로 치러지는 대관식 비용만 최소 1억 파운드(약 1685억원)로 추정돼 혈세 낭비 논란은 물론 왕실 존립을 반대하는 이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5600만 파운드(944억원)인 어머니 대관식 비용의 곱절이다.

찰스 3세의 개인 재산은 최소 18억 파운드(3조원)가 넘으며, 이번에 상속받은 재산도 5억 달러(7000억원) 상당으로 알려졌지만 법에 따라 상속세를 면제받았다. 영국 의회로부터 연 8600만 파운드의 왕실 보조금을 지원받지만 세습 부동산에서 나오는 배당금은 법인세를 내지 않는다.

군주제 폐지 시민단체 ‘리퍼블릭’은 “국민 대표가 국가원수가 돼야 한다”며 2000명 이상 모여 시위를 벌이다 트래펄가 광장 주변에서 그레이엄 스미스 대표가 체포됐다. ‘나의 왕이 아니다’, ‘왕정 폐지’라고 새겨진 노란색 티셔츠를 입고 대관식 반대 시위를 벌인 리퍼블릭 측은 경찰이 아무런 이유도 제시하지 않고 체포했다고 주장했다. 대관식이 진행된 토요일 런던에는 1만 1500명 이상의 경찰이 동원됐고, 얼굴 인식 기술도 사용됐다. CNN은 이날 대관식 동안 영국 경찰이 시위와 공공질서 위반 등의 혐의로 52명을 체포했다고 전했다.

대관식 전날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파푸아뉴기니, 자메이카, 앤티가 바부다, 바하마, 벨리즈 등 영연방 12개 국가의 원주민 지도자들은 찰스 3세에게 서한을 보내 식민 지배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와 왕실 재산을 이용한 배상을 촉구했다. 하지만 새로운 왕이 택한 것은 ‘무시’였다.

찰스 3세는 대관식에서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의 국민들 그리고 당신의 다른 영역과 영토를 통치할 것”이라고 서약에서 언급했다. 반면에 엘리자베스 2세는 현재의 영국은 물론 식민지배 사과를 요구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연방, 파키스탄, 실론 등도 통치할 것이라고 서약했다.
이미지 확대
영국 왕실의 왕위 승계 1순위인 윌리엄(두 번째줄 오른쪽 첫 번째) 왕세자와 캐서린 왕세자비, 샬럿(앞줄 왼쪽부터) 공주, 루이스 왕자, 승계 2순위인 조지(맨 오른쪽) 왕자 등 왕실 가족들이 대관식 이후 발코니에 도열해 있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영국 왕실의 왕위 승계 1순위인 윌리엄(두 번째줄 오른쪽 첫 번째) 왕세자와 캐서린 왕세자비, 샬럿(앞줄 왼쪽부터) 공주, 루이스 왕자, 승계 2순위인 조지(맨 오른쪽) 왕자 등 왕실 가족들이 대관식 이후 발코니에 도열해 있다.
런던 로이터 연합뉴스
영국과 14개 영연방 왕국의 새 군주가 된 찰스 3세는 평생 어머니의 이인자로 살다 처음 주인공이 됐지만, 아들 윌리엄 왕세자보다 못한 인기와 기세등등한 군주제 폐지 여론에 맞서야 하는 상황이다. 아내와 자식을 대동하지 않고 홀로 대관식에 참석한 둘째 아들 해리 왕자와의 갈등처럼 왕실 내부 분열도 또 다른 숙제다.

찰스 3세는 “하느님의 이름으로 섬김받지 않고 섬길 것”이라고 대관식에서 말했지만, 왕의 존재 자체가 오래된 권력과 특권의 상징일 뿐이라고 군주제 반대주의자들은 강조했다.
2023-05-08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