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미 요시노리 日 도쿄공업대 특임교수 겸 명예교수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10/03/SSI_20161003222050_O2.jpg)
AFP 연합뉴스
![오스미 요시노리 日 도쿄공업대 특임교수 겸 명예교수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10/03/SSI_20161003222050.jpg)
오스미 요시노리 日 도쿄공업대 특임교수 겸 명예교수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일본은 2014년 물리학상, 2015년 생리의학상과 물리학상에 이어 이번까지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일본이 3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것은 올해가 14년 만이며, 다른 학자와의 공동 수상이 아닌 단독 수상이어서 일본인들의 기쁨은 더욱 큰 모습이다.
2000~2002년 사이 일본에선 화학상과 물리학상 분야에서 4명의 노벨상 수상자가 나왔다. 특히 2002년에는 학사 출신의 민간 기업 회사원이던 다나카 고이치(田中耕一)씨가 화학상을 받아 화제였다.
언론을 비롯한 일본 사회는 환호하고 있다. NHK는 이날 저녁 요코하마(橫浜)에 있는 도쿄공업대 연구실에서 통화하는 오스미 교수의 모습을 전하며 노벨상 수상 소식을 속보로 보도했다. 교도통신도 긴급뉴스로 전했다.
일본 언론은 오스미 교수가 졸업한 현립후쿠오카고교에서 동창생 수십명이 모여 수상 소식을 기다리는 장면을 내보내는 등 이번 수상을 어느 정도 예상한 모습도 보였다.
오스미 교수의 고향 후쿠오카현의 오가와 히로시(小川洋 ) 지사는 “연구자로서 오랜 기간 열의를 갖고 노력을 계속해 온 것이 결실을 얻었다”며 “후쿠오카 주민으로서 큰 기쁨이자 자랑”이라고 치켜세웠다.
오가와 지사는 오스미 교수가 “앞으로도 연구를 계속할 사람들에게 꿈과 희망을 줬다”고 의미를 뒀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이날 오스미 교수에게 축하전화를 걸어 “일본인으로서 긍지를 느낀다”며 “선생의 연구 성과는 난치병으로 고생하는 분들에게 빛을 줬다”고 밝혔다.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일본인이 선정되자 도쿄(東京) 신바시(新橋) 인근에선 오후 7시 30분쯤부터 귀가하는 회사원 등에게 호외가 배포됐다.
76세의 한 남성은 이번 수상 소식에 대해 “일본인으로서 의미가 있을 뿐 아니라 의료 분야 연구 성과는 인류의 건강과 복지에 큰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자랑할 만하다”고 NHK에 말했다.
이로써 노벨상을 받은 일본인은 미국 국적 취득자를 포함해 25명으로 늘어났다. 이 중 생리의학상 수상자는 모두 4명이 됐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