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찾사’ 보컬 문진오… 세 번째 솔로앨범 발표

‘노찾사’ 보컬 문진오… 세 번째 솔로앨범 발표

입력 2010-02-08 00:00
업데이트 2010-02-08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구구절절한 노랫말 대중과 나누고 싶어”

…곧고 밝았던 너의 목소리 맑고 빛나던 너의 웃음은 세월에 묻혀 작아졌구나 삶의 무게가 보이는구나 허나 친구여 우리의 젊음은 5월처럼 찬란했지 그런 젊음이 있었기에 우리 지금 여기 서 있지 않나…‘친구여’(문진오 글·곡)

이미지 확대
오랫동안 ‘노래를 찾는 사람들’을 지켜온 싱어송라이터 문진오(44)가 최근 솔로 3집 앨범을 냈다. 고(故) 김광석, 안치환, 권진원 정도를 제외하면 그룹 명성에 어울리는 대중적인 지명도가 있는 노찾사 보컬은 찾아보기 힘들다. 노찾사가 개인보다 팀을 강조했던 탓이 크다. 그래서 노찾사를 대표하는 가수임에도 문진오라는 이름 석자가 생경한 사람이 많을 터. 노찾사 4집에서 격정적인 피아노에 맞춰 “청송녹죽 가슴에 꽂히는 죽창이 되려 하네.”라고 절절하게 ‘노래’(죽창가)를 불렀던 이가 바로 문진오다.

지난 5일 서울 홍대 인근 사무실에서 만난 그는 이번 앨범에 대해 작은 쉼표를 찍는 느낌이라고 했다. 이전과는 접근 방식이 달랐다는 이야기다. 1~2집 때까지는 그저 하고 싶은 것을 표현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으나, 3집에선 어떻게 하면 듣는 이들에게 친근하게 다가설 수 있는지를 많이 고민했다는 것. 노찾사의 무게를 다소 덜어내고, 개인적인 단상들을 듬뿍 담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우주에서 바라보면 우리가 사는 지구는 가냘프고 위태롭지만 아름답습니다. 그 속에서 제가 겪고 생각하는 것들을 전달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앨범 제목을 ‘작고 푸른 점’이라고 지었죠.”

문진오는 자신이 노랫말 중심의 음악을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음악 스타일보다 노래에 무슨 말을 담아 전달할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 기본적으로 포크를 하지만, 이에 얽매이지 않고 노랫말을 잘 전달하기 위해 적절한 장르를 선택한다고 했다. 예를 들어 이해인 수녀의 시 ‘작은 소망’은 글이 예쁘고 단아하기 때문에 보사노바풍으로 노래를 만들었고, 황규관 시인의 ‘패배는 나의 힘’은 에너지가 넘치기 때문에 록으로 장르를 결정했다는 식이다. 그는 새 앨범에서 가장 좋아하는 노래로 ‘친구여’와 ‘누구나 혼자이지 않은 사람은 없다’(김재진 시)를 꼽았다. 각각 젊은 열정과 희생이 있어서 이만큼 온 것인데, 지금이라도 좀더 우리의 역할을 찾아야 하는 건 아닌지, 나만 혼자가 아니라 다들 혼자이기 때문에 서로 이해하고 보살피며 연대해야 하지 않느냐 등의 이야기를 하고 싶었단다. “어려서부터 가사가 들리는 김민기, 송창식, 양희은 등의 음악이 좋았습니다. 쉽게 다가오면서도 무엇인가 생각할 수 있는 그런 노래를 부르려고 계속 노력하고 있죠.”

휴식기를 갖던 노찾사가 2004년 20주년을 맞아 다시 기지개를 켤 때 ‘왜 다시 시작하느냐.’는 질문이 많았다고 돌이켰다. 하지만 상업적인 음악이 판을 치는 시대에 노찾사가 다시 활동을 이어가는 것도 의미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민중가요가 ‘깃발’이었던 시대가 있었죠. 하지만 이제는 민중이라는 개념조차 정리하기 힘든 시대가 된 것 같아요. 지금은 같이 연대하고, 같이 생각하고, 같이 상상하자는 정도가 적당한 것 같아요. 굳이 저를 민중가수라고 부른다면 거부하지는 않겠지만, 스스로는 진보적인 대중음악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많은 사람들이 자유로울 수 있는 삶, 그리고 생명과 평화를 음악으로 풀어나가는 것이 진보적인 대중음악이죠.” 어려서부터 노래를 좋아했으나, 속으로만 부르며 즐기는 정도였다. 노래에 인생을 걸기 시작한 것은 대학 시절이다. 군에서 제대한 뒤 3학년 말쯤 사회 진출을 고민하다가 노찾사 오디션 기사를 보고 불쑥 문을 두드렸는데, 덜컥 붙어버렸다. 그렇게 그가 노래를 찾은 것이 1989년이니 벌써 20년이 훌쩍 지나 버렸다.

올해는 더욱 바빠질 것 같은 예감이다. 오래전 서울 구로지역 노동자들이 뭉친 산돌 노동자 합창단에 강습을 나갔다가 만든 포크그룹 ‘햇빛세상’을 다시 시작하려 한다. 노찾사도 새 앨범을 발표할 예정이다. 논의가 시작된 지 이미 2년이나 됐다고 한다. 지금 이 시대에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지 정리가 되지 않은 탓에 늦춰지고 있지만, 한동헌 노찾사 대표가 올해는 반드시 내겠다고 벼르고 있다고 한다. 만약 실현된다면 10주년 기념 앨범 뒤 15년 만에 새 작품을 만나게 되는 셈.

솔로 활동도 빼놓을 수 없다. 3집 발매 공연을 4월 초쯤 열 생각이다. 요즘 중년들이 경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자기 삶을 즐기기 위한 여유를 잃어버린 게 안타깝다는 그는 라이브 문화가 활성화됐으면 하는 바람을 전했다. “음악이라는 게 소리, 파동으로 전달될 때 느낌이 강해져요. 음반과 라이브는 그런 점이 다르죠. 라이브 무대를 되도록 많이 갖고 싶어요. 작은 숨결까지 전달되는 작은 소극장에서 장기간 공연을 하며 음악 팬들과 꾸준히 만남을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글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사진 피드백엔터테인먼트 제공
2010-02-08 20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