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회의 “굴욕적 확인서 거부… 문학적 행동 불사”

작가회의 “굴욕적 확인서 거부… 문학적 행동 불사”

입력 2010-02-09 00:00
업데이트 2010-02-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굴욕적인 확인서 요구를 거부한다.”

한국작가회의(이사장 최일남)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시위 불참 확인서’ 제출 요구와 관련, 8일 이같이 밝히고 예술위가 확인서 요구를 고집하면 “문학적 행동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예술위의 행태를 비판하는 글을 언론이나 문학잡지에 릴레이 게재하고, 문학단체 등과 연대하겠다는 뜻이다.

작가회의는 이날 서울 용강동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대표 문인단체에 불법·폭력 시위 운운하며 굴욕적인 확인서를 요구하는 것은 발상 자체가 창작의 자유에 대한 공공연한 위협”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예술위 측에 ▲문건 작성 주체 확인 ▲예술위원장 사과 ▲확인서 제출 요구 취소 등을 요구했다.

예술위는 지난달 19일 올해 문예진흥기금 지원 대상 가운데 광우병국민대책회의에 소속된 작가회의 등에 공문을 보내 “불법 시위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향후 가담 사실이 확인될 경우 보조금 반환은 물론 일체의 책임을 지겠다.”는 내용의 확인서 제출을 요구했다. 작가회의는 계간 ‘내일을 여는 작가’ 발간, 4·19 혁명 50주년 세미나 개최 등의 사업을 위해 예술위에 총 3400만원의 보조금을 신청한 상태다.

한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예총)가 공사를 주도하다 11년 전 중단됐던 ‘목동예술인회관’이 오는 4월 ‘대한민국 예술인센터’라는 이름으로 재착공된다. 이성림 예총 회장은 8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좌우 이념을 넘어 예술인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해 내년 6월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건립사업을 ‘보수단체 밀어주기식 특혜’라고 비판해온 문화연대 측은 “재착공은 졸속적인 판단”이라며 반발했다. 최지현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팀장은 “사업 이름만 바뀌었을 뿐 과거 형평성 논란이 됐던 사업과 다를 바 없다.”면서 “해결책은 사업 자체의 백지화뿐”이라고 주장했다.

목동예술인회관은 김영삼 대통령 시절 예총 주도로 건립이 진행됐으나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시절 재원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됐다. 이후 현 정부 들어 재착공이 결정돼 진보 단체의 반발을 샀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2-09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