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悲報… 경성에 계신 고종께서 중태란다”

“悲報… 경성에 계신 고종께서 중태란다”

입력 2010-02-19 00:00
업데이트 2010-02-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친왕비 친필일기 등 희귀자료 700여점 공개

“미혼으로서 보내는 마지막 신년이다. 왠지 모르게 즐거운 마음도 들고 또 아쉬운 마음도 든다.”(1월1일)

“비보(悲報), 생각하지 못한 비보가 내 귀에 울려 퍼졌다. 그것은 경성에 계시는 이태왕(李太王·고종) 전하께서 뇌일혈로 중태에 빠지셨다는 보고였다. 아아, 지금까지의 기쁨은 이내 슬픔으로 변했다.”(1월21일)

이미지 확대
국립고궁박물관이 18일 공개한 영친왕가 관련 희귀자료들. ① 영친왕비의 친필일기, ② 이토 히로부미가 순종과 함께 서북지역을 순행하는 장면이다. 한·일병탄 이전인 1909년 촬영된 것으로 태극기와 일장기가 나란히 걸린(점선 부분) 보기 드문 사진이다. ③ 영친왕 부부가 갓 태어난 진왕자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
국립고궁박물관이 18일 공개한 영친왕가 관련 희귀자료들. ① 영친왕비의 친필일기, ② 이토 히로부미가 순종과 함께 서북지역을 순행하는 장면이다. 한·일병탄 이전인 1909년 촬영된 것으로 태극기와 일장기가 나란히 걸린(점선 부분) 보기 드문 사진이다. ③ 영친왕 부부가 갓 태어난 진왕자를 바라보고 있는 모습.


1919년 19살의 영친왕비 이방자(1901~1989) 여사는 그해 결혼의 셀렘을 뒤로하고 고종의 병으로 결혼이 연기되는 슬픔을 맛봐야 했다. 영친왕비는 이런 설렘과 고통의 감정 변화를 자신의 일기책에 고스란히 기록해 두었다.

결혼을 앞둔 영친왕비의 복잡한 심경이 담긴 일기책이 공개됐다.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종수)은 18일 박물관 지하 1층 중앙홀에서 영친왕비의 친필 일기 1첩을 비롯, 영친왕 일가와 관련된 희귀자료 700여점을 공개했다. 여기에는 편지 39통, 엽서 121통, 사진 514장과 영친왕의 수첩, 다큐멘터리 필름 등도 포함돼 있다.

이중 영친왕비 친필 일기는 1919년 1월1일부터 그해말까지 1년간 쓴 것으로 총 136일의 기록이 남아 있다. 여기에는 예비 신부의 미묘한 감정 변화뿐 아니라, 자신의 약혼자이자 마지막 조선의 황태자인 영친왕에 대한 연민, 조선에 대한 호기심 등이 사실적으로 기록돼 있어 왕비의 인간적인 모습이 잘 드러난다.

영친왕가의 편지들은 국문·국한문·일문으로 작성돼 주로 친지 간의 안부를 묻는 것이 많다. 특히 순종의 비인 순정효황후(1894~1966)가 영친왕 부부에게 한글로 써 보낸 친필 편지는 희소성이 크고 영친왕가의 언어생활을 짐작케 하는 중요한 사료다.

이 밖에 이토 히로부미가 순종과 함께 서북지역을 순행하는 모습을 찍은 사진, 당시 덕수궁 석조전 내부가 찍힌 사진 등에서도 당시 왕가의 생활을 엿볼 수 있다.

이 유물들은 지난 2008년 12월 재일교포 하정웅씨가 주일본 한국대사관에 기증한 것이다. 이후 문화재청으로 옮겨졌다가 최근까지 국립고궁박물관이 보관하며 정리·번역 등 연구작업을 벌였다. 고궁박물관은 이 자료들을 학계와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게 도록으로 발간할 예정이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2-19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