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배우 일자리 기근

여배우 일자리 기근

입력 2010-08-03 00:00
업데이트 2010-08-0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조연급 남자 배우역 대비 절반에 불과

묘한 직업 정신이 발동했다. 올 들어 만난 여자배우들마다 ‘취업난’을 얘기했다. 영화판에서 여배우들의 설 자리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는 하소연이었다. 처음에는 무심코 들어 넘겼지만 공감 가는 대목이 있었기에 갈수록 ‘높아지는’ 탄식 수위에 ‘정말 그럴까. 사실이라면 얼마나 심각한 것일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이미지 확대
올해 상반기 영화계에서 주목 받았던 여배우들. 왼쪽부터 ‘하모니’의 김윤진, ‘하녀’의 전도연, ‘시’의 윤정희.   JK필름·미로비전·파인하우스 제공
올해 상반기 영화계에서 주목 받았던 여배우들. 왼쪽부터 ‘하모니’의 김윤진, ‘하녀’의 전도연, ‘시’의 윤정희.

JK필름·미로비전·파인하우스 제공


●상반기 여초영화 6편에 불과

이미지 확대
그래서 따져봤다. 올해 개봉한 한국영화 가운데 주연급과 조연급 배우의 남녀 비율을. 관객이 1만명 이상 든 35편 가운데 배우들이 무더기로 출연한 옴니버스 영화나 다큐멘터리를 제외한 29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주·조연의 구분은 영화사에서 제공하는 배우 크레딧 기준이다.

간극은 짐작보다 컸다. 주연과 조연을 합한 남자 배역은 총 196개인 반면 여자 주·조연급은 103개에 그쳤다. 거의 갑절 차이다. 여자 배역수가 남배우를 초과하는 ‘여초’ 영화는 6편에 불과했다.

그나마 주연급은 남자 45개, 여자 35개로 여배우들이 나름대로 선전했다. 여배우를 전면에 내세운 ‘하모니’, ‘육혈포 강도단’, ‘하녀’ 등이 체면을 살려준 결과다. 조연급만 따로 떼내면 남자가 여자의 3배로 간격이 다시 벌어졌다. 평균 배역수로 따지면 주연급의 경우 남자 1.56개, 여자 1.21개, 조연급은 남자 5.21개, 여자 2.34개였다. 여배우 취업난이 엄살이 아님을 확인시켜 주는 대목이다.

●30·40대 여배우들 배역 기근

여배우 중에서도 30~40대가 특히 심각했다. 미국 할리우드 스타 김윤진(37·‘하모니’ 주연)조차 최근 인터뷰에서 “그나마 20대 여배우들은 남자배우들의 로맨스 상대역이라도 들어오지만, 톱스타가 아닌 이상 30~40대 여배우들은 배역 기근에 시달린다. 한창 연기가 무르익을 때인데 정말 안타깝다. 그러다 50대가 돼야 엄마나 이모 역할이 간신히 들어온다. 한마디로 설 자리가 없다.”고 탄식했다.

여기에는 연기력보다 외모를 중시하는 여배우 캐스팅 풍토가 근본 원인으로 자리하지만 영화 흐름의 변화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심영섭 영화평론가는 “예전에는 멜로나 코미디물이 많았지만 지금은 블록버스터나 스릴러가 대세”라며 “그러다 보니 기획 단계부터 남성 중심적 영화를 만들게 돼 여자 배역이 확실히 급감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여배우 원탑(단독주연) 영화는 흥행이 안 된다.’는 속설마저 공공연히 나도는 실정이다.

연기경력 20년차의 K씨는 “이창동 감독의 ‘시’도 결과적으로 그런 속설에서 자유롭지 못했지만, 그래도 많은 여배우들이 ‘시’ 주인공 윤정희씨를 무척이나 부러워한다. 최근 들어 여배우가 주도권을 가진 영화가 몇 편이나 되는지 헤아려 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론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영화감독은 “심은하를 봐라. 절정기에 결혼 등의 이유로 은퇴해 버리지 않는가.”라며 상대적으로 빈곤한 ‘여배우 인력 풀’을 원인으로 꼽았다.

심 평론가는 “이유가 어디 있든 남배우 독식현상은 영화의 다양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며 “감성적 멜로물로 분류되는 ‘하모니’의 성공은 관객의 다양한 갈증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상기시켰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8-03 21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