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여~ 다시 한번

백제여~ 다시 한번

입력 2010-10-27 00:00
업데이트 2010-10-2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 새단장 28일 재개관

‘백제 다시 보기’ 열기가 뜨거운 가운데, 국립중앙박물관이 선사·고대관 백제실을 새 단장해 28일부터 선보인다. 기존의 주제별 전시에서 벗어나 한성기, 웅진기와 사비기, 대외교류 및 지방세력 등 백제의 역사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사적으로 구성한 게 가장 큰 변화다.

이미지 확대
박물관은 개편을 기념해 백제의 다양한 유물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무령왕릉 금관 꾸미개(국보 154호) 등 국보 3점, 보물 1점 등 모두 530여점이 전시된다. 특히 백제문화의 정수로 꼽히는 백제금동대향로(국보 287호·국립부여박물관 소장)가 5년 만에 서울 나들이를 한다.

백제의 환곡(還穀·흉년이나 춘궁기에 곡식을 빈민에게 빌려주고 추수기에 되받는 구휼제도) 정보가 담긴 부여 쌍북리 출토물 ‘좌관대식기’(佐官貸食記) 묵서명 목간도 보존처리를 끝내고 처음으로 전시된다. 고려시대 문익점의 목화보다 800년이나 앞선 것으로 추정되는 부여 능사리 절터 출토물 면직물도 공개된다.

한성기는 백제의 건국과 성장 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등 백제의 중앙과 지방에서 출토된 유물을 집중적으로 전시한다. 웅진기와 사비기는 무령왕릉과 사비의 도성인 부여 지방에서 출토된 자료를 통해 생활문화와 불교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구성했다.

백제가 일본에 전해준 것으로 알려진 칠지도를 비롯해 백제가 동아시아 중심에서 일본·중국 등과 활발하게 펼쳤던 교류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이 선보인다. 노희숙 국립중앙박물관 고고부 학예연구사는 “백제사의 흐름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최신 발굴 성과를 반영해 전시실을 재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상설전이지만 백제금동대향로와 묵서명 목간은 각각 11월 14일, 11월 28일까지만 전시된다. 무료.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0-27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