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기인의 ‘밥상’으로 본 성인병 예방

구석기인의 ‘밥상’으로 본 성인병 예방

입력 2011-07-11 00:00
업데이트 2011-07-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BS ‘진화의 비밀, 음식’

툭 튀어나온 배는 이제 부의 상징이 아니라 자기 관리 실패의 증거다. 비만과 성인병의 그림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EBS 다큐프라임은 11~13일 오후 9시 50분 ‘진화의 비밀, 음식’ 3부작을 통해 구석기 시대 식단을 제안한다. 음식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인 셈이다.
이미지 확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 대한 상상도. 요리를 통해 보다 간편하게 영양소를 흡수할 수 있게 되면서 인류 진화의 역사가 시작된다. EBS 제공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 대한 상상도. 요리를 통해 보다 간편하게 영양소를 흡수할 수 있게 되면서 인류 진화의 역사가 시작된다.
EBS 제공


1부 ‘요리로 탄생한 인류’는 요리가 인류 진화의 결정적인 계기였음을 밝힌다. 일본 교토대 영장류연구소 연구진들은 침팬지가 하루에 채소와 과일을 모두 5~6㎏쯤 먹는다고 한다. 인류의 조상으로 꼽히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도 이와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현 인류로 도약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요리다. 불로 고기를 익혀 먹으면서 인간의 진화가 시작된 것이다. 고기를 통해 더 많은 단백질을 흡수할 수 있지만, 대신 단백질을 흡수하는 데 드는 시간과 힘은 줄었다. 이는 인류에게 큰 턱, 긴 창자 대신 큰 뇌, 완전한 직립보행 등을 가져다줬다. 간편하고 충분한 영양 섭취가 진화의 핵심이었다는 얘기다.

2부 ‘요리하는 인류, 호모 코쿠엔스의 비극’은 이런 진화의 비밀에서 비만의 문제가 파생된 과정을 살펴본다. 미국에서 활동 중인 송영섭 박사팀은 최근 쥐 실험을 통해 비만 유전자를 찾아냈다. 그런데 이 유전자가 인류의 수렵 채집 시대의 생존 유전자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언제, 어떻게 먹을 것을 확보할 수 있을지 모르던 때 비만 유전자는 생존 유전자였던 셈이다. 이 유전자는 그대로인데 식생활 환경은 그동안 너무 풍족하게 변했다는 게 문제의 핵심이다. 요리하는 인류, 호모 코쿠엔스의 비극이다. 따라서 진화학자들은 사냥 채집 시절 식단으로 되돌아 가자고 주장한다.

3부 ‘구석기인처럼 살아라.’는 실제 미국과 영국에서 성인병 치료를 위해 시도되고 있는 구석기 식단을 살펴본다. 바로 고기, 과일, 채소를 위주로 하되 소금, 설탕 같은 것은 입에 대지 않는 것이다. 영양소 비교 분석도 했다. 미국의 현대 식단은 탄수화물 60%, 단백질 10%, 지방 30%으로 구성됐다. 구석기 식단은 탄수화물 40%, 단백질 30%, 지방 30%다. 비타민, 칼륨, 섬유질은 현대식에 비해 두 배 이상 높고 나트륨은 절반도 안 된다. 이는 탄수화물을 많이 먹고 맵고 짠 음식에 길들여져 있는 한국인들에게 시사점을 던져준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이 진행한 구석기 식단의 임상실험 결과도 공개한다. 실제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에 착수했다. 그랬더니 한 달 만에 허리 둘레가 10㎝ 줄어드는 놀라운 효과가 나타났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7-11 23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