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 만점부모 되는 길…뽀·뿡·빵 챙기세요

여름방학 만점부모 되는 길…뽀·뿡·빵 챙기세요

입력 2011-07-14 00:00
업데이트 2011-07-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린이 인기공연 봇물

여름방학이 곧 시작되면서 공연계가 어린이 관객을 겨냥한 작품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뽀통령’ 등 인기 캐릭터를 앞세운 작품과 명작 동화의 재미를 일깨워 주는 뮤지컬, 교육과 재미를 결합시킨 ‘에듀테인먼트’ 등 공략 키워드도 다양하다.

●뽀로로·뿡뿡이… 캐릭터 열전

일본 애니메이션을 각색한 ‘파워레인저 정글포스’가 다시 찾아온다.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서울 대현동 이화여대 삼성홀 무대에 오른다.

이미지 확대
‘뽀로로’
‘뽀로로’


정글포스와 전작 주인공 엔진포스가 동반 출격하는 것이 특징. 초대형 발광다이오드(LED) 화면을 통해 박진감 넘치는 전투 장면과 지구수호 5총사(사자, 독수리, 상어, 들소, 백호)의 변신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무게만 400∼600㎏에 이르는 거대 로봇 ‘정글킹’과 ‘엔진킹G6’의 전투 장면이 압권. 줄을 타고 공중을 날아다니는 플라잉 액션도 볼거리다. 3만 5000~4만 5000원. (02)2261-1393.

정글포스에 도전장을 던진 이는 ‘어린이들의 대통령’인 뽀로로. 뮤지컬 ‘슈퍼영웅 뽀로로’가 같은 날 양재동 교육문화회관 대극장 무대에 오른다. 하늘을 날고 싶은 뽀로로의 좌충우돌 활약상을 그렸다. 레이저와 영상을 활용한 홀로그램 기법, 객석을 날아다니는 마술 등 특수효과를 통해 ‘뽀통령’(뽀로로+대통령)의 힘을 보여줄 예정이다. 31일까지. 1만 5000~4만원. (02)598-0284.

이에 질세라 ‘방귀대장 뿡뿡이’도 출격한다. 2000년 EBS를 통해 데뷔한 지 11주년이 된 만큼 어린이들의 추억(?)을 자극하는 음악 중심의 주크박스 뮤지컬로 인기몰이에 나선다. TV 프로그램에서 ‘짜잔 형’으로 나오는 최동균이 뮤지컬에서도 ‘짜잔~’하며 진행자로 등장한다. 23일부터 8월 21일까지 청파동 숙명아트센터 씨어터S. 3만 5000~4만 5000원.

●교육·재미 동시에… 에듀테인먼트

경제교육 뮤지컬을 표방한 ‘재크의 요술지갑’은 주인공 재크의 모험을 통해 ‘돈’과 ‘소비’의 개념을 재미있게 일깨워 준다. 8월 6~28일 대학로 소리아트홀. 2만원. (02)766-9880.

뮤지컬 ‘마법천자문’은 제목 그대로 한자를 알려준다. 손오공과 대마왕의 대결을 통해 배움, 인내, 신뢰, 우정 등에 얽힌 한자를 보여준다. 27일부터 8월 21일까지 경기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 어울림홀. 2만 5000~3만원. (02)503-6025.

23일 인천어린이과학관 무대에 오르는 ‘춤추는 태양계’는 우주를 공부할 수 있는 뮤지컬이다. 태양계 이야기를 신화적 요소로 꾸며 우주 운동의 원리를 이해하도록 했다. 무대가 천체영상과 별빛으로 채워져 지구 자전과 공전 등의 ‘따분한’ 개념이 흥미롭게 다가온다. 8월 21일까지. 2만원. (02)529-1003.

이미지 확대
‘구름빵’
‘구름빵’


●책밖으로 나온 주인공… 베스트셀러 백희나 작가의 베스트셀러 그림책을 같은 제목으로 각색한 뮤지컬 ‘구름빵’은 구름을 넣어 만든 빵을 먹고 하늘을 나는 고양이 남매(홍비·홍시)의 유쾌한 모험담을 그렸다. 노란 우비를 입은 고양이 모습이 깜찍하다. 15~24일 대흥동 마포아트센터, 28일~8월 26일 능동 유니버설아트센터. 3만~4만 5000원. (02)762-0810.

뮤지컬 ‘어린이 돈키호테’는 독서광 돈키호테가 책 속의 기사가 돼 어린이 산초와 함께 모험을 떠나는 내용이다. 16일~8월 28일 용산동 국립중앙방물관 극장 용. 3만~5만원. 1544-5955.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1-07-14 2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