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된 중산층 가정의 허위의 식 폭로

안정된 중산층 가정의 허위의 식 폭로

입력 2011-07-16 00:00
업데이트 2011-07-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젊은 유학파 주축 ‘오브제,오브제… ’전

‘빅토리아 시크릿’. 여신급 모델과 화려한 속옷으로 사람들의 눈을 홀리는 브랜드다. 브랜드 이름은 중의적이다. 겉옷에는 정숙, 순결을 내걸되 속옷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영국의 태평성대 빅토리아 왕조 시대의 허위의식을 까발린다.

이미지 확대
박지혜 작가의 ‘빅토리안 스크랩 콜라주’
박지혜 작가의 ‘빅토리안 스크랩 콜라주’


20일까지 서울 원서동 아트스페이스H에서 열리는 ‘오브제, 오브제, 오브제’ 전시에 걸린 박지혜(30) 작가의 작품 ‘빅토리안 스크랩 콜라주’도 마찬가지다. 정숙, 순결을 강조하는 사회는 당연히 안온한 가정을 상정하기 마련. 가정의 모든 구성원들은 제 위치에서 제 역할을 적절하게 잘 수행해내야 한다. 그것은 비밀스럽고도 암묵적인 계약 같은 것이기도 하다.

박 작가는 그 시절 그림을 스크랩해 콜라주로 구성했다. 노랑머리에 파란 눈을 가진, 평온한 가정에서 곱게 잘 자랐을 것만 같은 아이들을 한데 모아 뒀다. 작품 크기도 ‘내 집 거실에 걸어 두면 딱 좋을’ 중산층 잣대의 크기다. 고전적인 느낌의 금박 제목 명패까지 박아 뒀으니 한결 뜻이 더 명확해진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들의 손은 2개가 아니라 여러 개이고, 한국에서도 열혈 엄마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 클래식 유모차에 여러 명의 아이들이 함께 타고 있다. 평온한 아이들일까, 사육당하고 있는 아이들일까. 빅토리아적 세계관이 품고 있는 이중성에 대한 고발로 읽힌다.

아예 작가 스스로가 빅토리안 스크랩 콜라주에 등장하는 오브제가 되기로 자청한 비디오 작업 ‘깊은 물 속으로 사라진’(Lost in the Fathomless Water)도 같은 맥락 위에 서 있다.

10명의 작가가 참가한 전시의 또 하나의 포인트는 박 작가를 비롯해 영국 런던 골드스미스대 졸업생들이 주축이라는 점이다. 널리 알려졌듯 골드스미스대는 영국이 현대미술 주도권을 미국에서 되찾기 위해 집중적으로 키운 yBA(영 브리티시 아티스트) 스타들의 산실이다.

젊은 작가들의 감수성을 맡아볼 수 있는 자리다. 동시에 지극히 개인적인 감성을 오브제를 통해 투사하려는 경향도 또렷하다. (02)766-5000.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7-16 1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