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기자의 백스테이지] 연극 ‘헤다가블러’ 무대 디자이너 여신동

[김정은 기자의 백스테이지] 연극 ‘헤다가블러’ 무대 디자이너 여신동

입력 2012-05-14 00:00
업데이트 2012-05-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의 손을 거치면 무대, 예술이 된다

연극이 시작됐다. 관객의 시선은 이윽고 무대라는 공간에 고정된다. 관객은 그렇게 극장 내 객석이란 공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무대 위 공간으로 오롯이 정신력을 옮긴다. 극이 시작되어 관객이 가장 먼저 대면하는 것은 작품의 줄거리도, 배우도 아니다. 무대라는 공간, 바로 그것이 관객을 연극 속으로 몰입시키는 첫 관문이다.
이미지 확대
서울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마련된 연극 헤다가블러의 무대를 배경으로 디자이너 여신동씨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서울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마련된 연극 헤다가블러의 무대를 배경으로 디자이너 여신동씨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그래서 무대 디자인은 작품의 몰입도를 결정한다. 무대 디자이너는 무대의 전체적인 콘셉트를 잡는 것은 물론 무대의 제작, 무대 위 소품의 제작까지 모두 책임진다. 요즘 공연되고 있는 작품 가운데 무대 디자인이 관객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연극 한 편이 있다. 그만큼 무대 디자인이 멋지다는 말이다. 바로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 중인 ‘헤다가블러’다. ‘헤다가블러’의 무대 디자인은 지난해 한국 뮤지컬 대상에서 뮤지컬 ‘모비딕’으로 무대미술상을 거머쥔 여신동(35) 디자이너가 맡았다.

그는 ‘헤다가블러’의 무대 콘셉트를 잡고 완성하는데 한 달 반가량의 시간이 걸렸다고 했다. 멋진 무대 디자인과 세트가 완성되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칠까.

배우와 연출과는 달리 여신동 디자이너는 대본을 처음 받게 되면 머릿속으로 그림을 그리며 읽어내려간다. 스스로 생각한 공간의 느낌을 텍스트를 통해 확인한다고. 이후 연출과 배우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며 무대 디자이너가 상상했던 이미지가 맞는지 조율 과정을 거친다. 여 디자이너는 “배우마다 억양이라든지 말투가 다 다르다. 배우들이 무대에 섰을 때 내가 그린 무대 모습과 어울리는지 등을 고민하면서 확신이 생길 때까지 머릿속으로 무대를 이미지화한다.”고 했다. 그러고 난 뒤 이미지 조사에 돌입한다. 각 미술 작가 작품집, 사진, 낙서 등을 수집 또는 만들어 가며 1000장가량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그 다음 1000여장의 이미지 가운데 사용할 만한 것을 추려 낸다. 추려 낸 이미지를 이용해 무대의 색깔이라든지 느낌을 잡아 낸다. 특히 여 디자이너는 이미지를 추리면서 스스로 짧은 단어 또는 문장으로 무대의 콘셉트를 잡는다. 그는 “‘헤다가블러’의 경우 ‘큐빅’(cubic·정육면체)이라는 단어로 이미지를 만들었다.”고 했다. 그는 큐빅의 6개면이 모든 걸 만날 수 있고, 동시에 많은 걸 품은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또 유리 같은 예민한 느낌도 지녔다고 판단했다. 헤다가블러란 여성을 분석해 보니 육감이 열려 있어서 모든 게 예민한 인물이었단다. 그래서 헤다의 공간을 다소 민감하게 표현했다. 무대를 자세히 보면 곳곳이 예민하고 날카롭다. 거울을 걸어놓은 와이어도 그렇고, 벽에 줄 맞춰 장식된 총 세 자루도 그렇다.
이미지 확대
연극 헤다가블러의 무대 모습.  명동예술극장 제공
연극 헤다가블러의 무대 모습.
명동예술극장 제공


무대의 콘셉트를 잡고 나서는 제작소에 무대 세트를 맡긴다. 소품도 무대를 표현하는 훌륭한 도구다. ‘헤다가블러’ 무대의 가구와 소파 모두 그가 디자인한 뒤 직접 제작했다.

무대 디자이너는 단순히 세트를 만드는 일에만 역할이 국한되지 않는다. 무대 디자인은 연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의 무대디자인 하나로 탄생한 장면이 있다. 바로 헤다의 자살 장면이 그것. 그는 헤다를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과 헤다 스스로 자신을 규정하는 시선을 9개의 거울로, 또 자살 직전 불안한 헤다의 심리를 400개의 글라스 초로 표현했다. 이런 무대 덕에 박정희 연출의 처음 의도와 달리 헤다가 총으로 거울 세 개를 깨며 자살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자살하기 직전까지 헤다의 발 밑에는 헤다의 심장을 의미하는 글라스 초 400개가 예민한 소리를 내며 흔들거린다. 관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는 장면 중 하나다.

또 대본에는 헤다 집에 그녀의 아버지 가블러 장군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다고 돼 있지만, 그는 과감하게 동상으로 표현했다. 아직도 그녀가 아버지의 지배를 받고 있음을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또 지하 계단을 파고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을 만들어 헤다의 공간을 좌우는 물론 위·아래에도 존재하게 했다. 헤다를 모든 걸 초월한 인간으로 표현하고 싶어서다.

“무대 디자이너라는 직업이 자칫하면 공연의 백스테이지 스태프, 그냥 무대를 제작하는 사람으로만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연출가와 배우 못지않게 무대 디자이너 또한 작품을 분석하고, 작품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사람이죠.”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2-05-14 20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