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하굿둑·수중보에 뒤틀린 수중 생태계

하굿둑·수중보에 뒤틀린 수중 생태계

입력 2012-07-04 00:00
업데이트 2012-07-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1 4일밤 ‘환경스페셜’

민물장어 하면 풍천장어를 빼놓을 수 없다. 그런데 요즘 풍천장어를 찾기가 어렵다. 실뱀장어는 마리당 500원 하던 것이 7000원까지 치솟았다. 5~6월쯤이면 동해안 곳곳에서 볼 수 있었던 칠성장어도 도통 보이질 않는다.
이미지 확대
바람과 바닷물을 몰고 온다는 풍천장어를 요즘은 찾기가 어렵다. 왜 그런지 환경스페셜팀이 추적했다.
바람과 바닷물을 몰고 온다는 풍천장어를 요즘은 찾기가 어렵다. 왜 그런지 환경스페셜팀이 추적했다.


4일 오후 10시 KBS 1TV ‘환경스페셜’은 ‘돌아오지 않는 강’을 방영한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해마다 봄이면 각종 회귀성 어류들이 산란을 위해 강으로 되돌아온다. 그런데 점점 이들 물고기의 수가 줄어들고 있다. 바다와 강 사이를 막은 하굿둑과 수중보들 때문이다.

강 밑바닥에 만들어놓은 이런 구조물들은 독특한 생태계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수중보 아래 갇혔던 물이 깊은 산속 계곡과도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천어나 버들개처럼 상류쪽에서 사는 종류들이 강 하구 쪽으로 내려와 산다. 아주 낯선 환경속에서 적응하기 위해 몸부림치는 이들의 생태를 카메라에 담았다. 마냥 신기하지만은 않다. 큰 하굿둑이 막아선 금강이 대표적이다. 굳게 닫힌 수문 앞에 강으로 올라가기 위해 물길이 열리기만 기다리는 숭어 떼들이 모여 있다. 이들은 어떤 운명을 맞이하게 될까. 금강 하굿둑은 원래 농업, 공업 용수를 공급하고 홍수를 막겠다는 명분으로 건립됐다. 그러나 물길을 막은 결과 엄청나게 많은 토사가 쌓여 항구는 폐쇄되고 갯벌은 죽어버렸다.

하굿둑이나 수중보가 없는 강, 섬진강도 찾았다. 이곳에서는 벚굴을 볼 수 있다. 벚굴은 굴 가운데서 유일하게 강에서 자라는 굴이다. 바닷물과 강물이 오가는 섬진강의 벚굴들은 어떤 모습들인지 화면에 담았다. 산란기를 앞둔 수많은 황어들도 섬진강으로 찾아든다. 하루 종일 계속되는 황어의 부화와 산란 현장을 담았다. 막지 않았을 때의 자연현상이 이런 것임을 알려준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7-04 24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