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중에 붓글씨 썼나

공중에 붓글씨 썼나

입력 2012-07-14 00:00
업데이트 2012-07-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제갤러리 칼더 모빌 ‘누아’展

“음, 많은 사람들이 물어봤어요. 할아버지와 놀러간 추억이 있느냐고. 그런 거 함께 가본 적 없었어요. 취미를 물어보는 사람도 있었는데, 작업 외엔 없었답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말합니다. 할아버지는 한국 사람이다.”

에피소드를 물었더니 이 더운 여름에 휴가도 안 가고 뭐 하냐는 듯 우스갯소리를 내뱉는 이는 알렉산더 로웨(49)다. 알렉산더 칼더(1898~1976)의 외손자로 칼더 작품의 전시, 관리를 도맡은 칼더 재단 이사장이기도 하다. 칼더는 모빌(mobile·‘움직이는 조각’이란 의미로 마르셀 뒤샹이 처음 썼다.)의 창시자로 꼽히는 조각계의 거장. 8월 17일까지 서울 소격동 국제갤러리에서 ‘누아’(Noir)전이 열리는데 이를 위해 로웨 이사장이 한국을 찾았다.

전시장은 국제갤러리가 최근 완공한 3관. 높은 천장에 네모 반듯해 보기만 해도 시원한 공간인데 여기에다 딱 6점만 전시해 뒀다. 전시제목에서 짐작하듯 작품은 모두 검은색이다. 정갈하게 하얀 공간에 검은색 작품, 그것도 덩어리감보다 선의 느낌이 강조된 칼더의 작품이 배치되어 있다보니 어디선가 묘한, 먹 가는 향까지 느껴진다.

로웨는 할아버지 작품이 “모빌이라는 이유로 색, 형태, 움직임만으로 이해되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무슨 소린가 했더니 ‘구멍 있는 블랙 모빌’을 핵심 작품으로 꼽은 뒤 설명을 이어갔다. “움직임을 탐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 다음에는 반응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작용과 반작용인 거죠. 저 작품을 예로 들면, 모빌이 움직일 때 사람들은 누구나 무의식적으로 움직임을 머릿속으로 계산합니다.” 그 반응까지 함께 느끼고 고려할 수 있을 때 칼더 작품에 대한 이해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는 얘기다. “이제까지 평생 할아버지 작품을 공부했지만, 볼 때마다 이해가 달라지는 이유”도 거기 있다고 했다.

강철판이라는 묵직한 재료로 만들어졌지만 작품을 볼 때 운동과 반응을 고려해 달라는 것은 동양적인 느낌이다. 지금 이 순간 내가 느끼는 반응, 그러니까 교감을 중시하니 말이다. “할아버지는 감각과 직관을 가장 중시하셨습니다. 그걸 ‘기’(氣)라고 부른다면 그렇다고도 할 수 있을 거예요. 1930년대 추상작업으로 돌아선 뒤 할아버지가 자신의 작품을 일러 ‘볼륨, 벡터, 밀도다’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말 뜻을 두고 평론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했는데 제가 보기엔 보편적인 무엇을 다룬다는 얘깁니다.” 그러고 보니 먹향의 정체가 분명해진다. 칼더는 공중에다 붓글씨를 썼나 보다. (02)735-8449.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2-07-14 18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