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좋아한 공주는 숙휘공주 아닌 숙명공주”

“고양이 좋아한 공주는 숙휘공주 아닌 숙명공주”

입력 2012-12-11 00:00
업데이트 2012-12-11 09: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종덕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



MBC 월화 드라마 ‘마의’에는 조선 제17대 왕 효종(1619~1659)의 넷째 딸 숙휘공주(1642~1696)가 나온다. 드라마에서 숙휘공주는 궁에서 키우는 고양이를 애지중지 보살피고 감정 표현에 솔직한 천방지축 공주로 그려진다.

이종덕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은 그러나 드라마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면서 “고양이를 좋아한 공주는 숙휘공주가 아니라 숙휘공주의 언니인 숙명공주”라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그 근거로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한글편지를 제시했다.

이 연구원은 “17세기 왕실 한글편지를 보면 효종이 공주가 고양이를 안고 있다고 꾸중하는 내용이 있다”면서 “이 편지는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라고 말했다.

효종이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에는 “너는 시집에 가 (정성을) 바친다고는 하거니와 어찌 고양이는 품고 있느냐? 행여 감기나 걸렸거든 약이나 하여 먹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편지는 숙명공주가 받은 편지를 모은 서간집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에 실려 있으며 ‘숙명신한첩’은 현재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숙명공주(1640~1699)는 효종의 둘째 딸로, 이조참판 심지원의 아들 심익현에게 시집갔다.

이 연구원은 “편지를 보낸 시기는 숙명공주가 혼인한 1652년부터 효종이 승하한 1659년까지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효종은 인선왕후 사이에서 아들 현종(1641~1674)을 비롯해 숙신공주, 숙안공주, 숙명공주, 숙휘공주, 숙정공주, 숙경공주 등 1남 6녀의 자녀를 뒀다.

이 연구원은 또 드라마 배경이 효종 대가 아니라 현종 대인데 이미 시집간 현종의 동생 숙휘공주가 궁에 살고 있는 것도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에 따르면 숙휘공주는 효종 4년(1653)에 정제현과 혼인해 오빠인 현종이 즉위한 무렵에는 인상, 효희라는 아들 딸이 있었다. 현종 2년(1661)에는 둘째 아들을 낳았다.

이 연구원은 “공주가 혼인하면 궁 밖에 공주궁을 지어 살았기 때문에 현종 때에는 숙휘공주가 당연히 궁 밖에 살고 있어야 하는데 드라마에는 숙휘공주가 경복궁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온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원은 현종의 비인 명성왕후(明聖王后)가 딸 명안공주에게 보낸 신년 덕담 편지도 소개했다.

”새해에 잘 지내는(지) 안부 알고자 하며 먼저 적은 편지 보고 든든하고 반가워한다. 새해부터는 무병장수하고 재치기 한 번도 아니하고 푸르던 것도 없고 숨도 무궁히 평안하여 달음질하고 날래게 뛰어다니며 잘 지낸다 하니 헤아릴 수 없이 치하한다.”

이 연구원은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신년 덕담은 바라는 바를 이미 실현된 것으로 표현했다”면서 이 편지에서 명성왕후도 명안공주의 건강을 바라는 마음에서 ‘잘 지낸다 하니 헤아릴 수 없이 치하한다’라며 공주의 건강 상태를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효종과 명성왕후 사이에는 아들인 숙종 외에 세 딸이 있었는데 명안공주는 셋째 딸이다.

이 연구원은 “첫째와 둘째 딸이 일찍 죽어 셋째인 명안공주를 특히 애지중지했다”면서 “다행히 명안공주는 혼인할 정도까지 성장하긴 했으나 역시 오래 살지 못하고 오태주와 결혼한 지 8년 만인 스물한 살에 죽었다”고 말했다.

이 편지는 오죽헌박물관(강릉시립박물관)에 소장된 명안공주 관련 유물(보물 1220호) 중 어필(御筆)에 실려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