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석가탑 속살 47년만에 세상에…

석가탑 속살 47년만에 세상에…

입력 2013-04-03 00:00
업데이트 2013-04-03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층 옥개석 들어내고 ‘사리봉안’ 사리장엄구 수습

2일 오후 경북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경내에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수정비사업단원들이 삼층석탑(석가탑)의 2층 옥개석을 기중기를 이용해 들어 올리고 있다.
2일 오후 경북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경내에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수정비사업단원들이 삼층석탑(석가탑)의 2층 옥개석을 기중기를 이용해 들어 올리고 있다.
국보 21호인 불국사 서쪽 삼층석탑(일명 석가탑). 불국사 스님들의 “석가모니불” 염불 소리가 드높은 가운데 2일 오후 2시, 2층 옥개석(屋蓋石· 지붕처럼 덮은 돌)을 기중기로 들어 올려 해체했다. 1000년 만의 해체복원 사업이자, 1966년 도굴 미수로 드러난 사리장엄구를 수습한 뒤 47년 만이다. 이날 사리장엄구를 수습한 결과 확인된 사리는 1과(顆)였다.

석가탑 해체 수리 복원 사업을 진행 중인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석조문화재보수정비사업단이 옥개석을 들어 올리자 탑신(塔身)에 들어 있는 41㎝x41㎝ 정사각형의 사리공(사리를 모시는 공간)이 드러났다. 깊이는 19㎝이다. 비단 보자기가 덮여 있는 사리공이 드러나자마자 해체를 지휘하던 문화재연구소 배병선 실장은 “(산화하지 않도록) 유리를 덮고 가습기를 가동하라. 비닐 포장을 빨리 둘러라”고 소리를 질렀다. 47년 만에 외부에 드러난 붉은색이 도는 보자기 밑에는 바닥이 없는 구멍을 뚫어놓은 철제 덮개가 있고 그 안에 보석장식이 달린 금동 사리외합이 향나무 조각에 쌓여 있었다. 사리가 드러난 오후 4시 40분 경엔 돌연 천둥이 치고, 우박과 폭우가 쏟아지기도 했다.

석가탑은 일부 석재에서 균열 등이 발견돼 2010년 12월 16일 문화재위원회가 해체 보수를 결정했고, 지난해 9월 해체를 시작했다. 지난해 12월 상륜부(上輪部·찰주 위에 석물로 된 장식물)가 모두 해체됐고, 최근 3층 옥개석도 해체됐다. 이날 2층 옥개석을 열고, 사리장엄구를 수습한 것이다.

석가탑의 사리공 존재가 밝혀진 것은, 1966년 사리공의 사리장엄 유물을 노린 도굴범들 덕분이다. 도굴범들은 6t에 이르는 2층 옥개석을 밀어내고 탑신에 들어 있는 사리함을 훔치려다 탑만 훼손하고 미수에 그쳤다. 이에 석가탑의 해체수리를 결정했으나, 2층 옥개석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떨어뜨리는 등 사고가 발생하자 포기했다. 당시 2층 탑신 사리공에서는 사리와 함께 금동제 외합, 은제 내합,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보 제126호), 고려 초인 정종 4년(1038년)에 쓰여진 ‘불국사 서석탑 중수기’도 발견됐다. 이후 석가탑 안에 재봉안된 은제 사리호와 목제 사리병을 제외한 28건은 국보 제126호로 지정돼 현재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따라서 이날 모습을 드러낸 사리장엄구는 사리와 몇몇 유물을 제외하면 47년 전에 넣은 복제품이다.

당시 발견된 ‘불국사 서석탑 중수기’에는 부처님 진신사리 47과가 유리제 사리병에 들어있다고 기록돼 있었다.

하지만, 1966년 사리함을 개봉해 조사한 결과, 유리제 사리병에는 46과의 사리만 존재했고, 사리가 1과씩 들어있는 은제사리호와 목제사리호가 각각 발견돼 석가탑에서 발견된 사리는 모두 48과이다. 배 실장은 “따로 담긴 2과의 사리에 대한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 점을 볼 때 1038년 이후 최소 1차례 이상 더 수리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현재 확인된 사리는 은제 사리합에 들어 있던 1과다. 목제 사리합은 열리지 않아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유리제 사리병에 들어 있던 46과(추정)는 서로 달라붙어 있어 추후 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에서 정밀 확인 작업을 거쳐야 한다.

배 실장은 또 “은제 사리호와 목제 사리병, 그리고 사리를 다시 탑 속에 넣어 재봉안할지 여부는 더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불국사는 수습한 사리를 불국사 무설전에 모시고 내년 3월까지 석가탑 사리친견법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석가탑은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원년(740)에 김대성이 불국사를 발원하면서 세웠고, 고려 초 현종 시대에 경주 일대를 덮친 지진으로 일부가 파괴되자 고려 현종 15년인 1024년 해체 수리된 뒤 1000년을 버텼다. 문화재연구소는 석가탑의 기단부분을 6월까지 해체한 뒤, 내년 6월 무렵 복원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해체 복원에는 총 30억원 규모의 예산이 책정됐다.

경주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4-03 6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