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 In&Out] 문화재 환수 너무 값비싼 대가 ‘돈으로 맞바꾸기’ 언제까지…

[문화 In&Out] 문화재 환수 너무 값비싼 대가 ‘돈으로 맞바꾸기’ 언제까지…

입력 2014-01-10 00:00
업데이트 2014-01-10 0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리 센 강변의 기메 동양박물관. 이곳에는 1000점이 넘는 한국 유물이 소장돼 있다. 신라시대 금관이나 불상을 비롯해 국보급인 고려시대 ‘수월관음도’, ‘천수관음상’, 조선시대 김홍도의 풍속화 등이 지하 수장고에서 조용히 먼지를 덮어쓴 채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이촌동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조선시대 불화 환수 설명회에서 안휘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이 ‘석가삼존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이촌동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조선시대 불화 환수 설명회에서 안휘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이 ‘석가삼존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현재 해외에 나가 있는 우리 문화재는 15만 2000여점으로 추정된다. 이 중 일본과 미국에 각각 6만 6000여점과 4만 2000여점이 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가운데 최근 5년간 환수 실적은 30건에 못 미친다. 문화재 당국이 유출 문화재의 실태를 어느 정도나 파악하고 있는지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유물들은 대부분 파손 위험을 안고 방치되다시피 한 상태다. 깨지고 부숴지고 벗겨진 채 창고 한쪽에 쌓여 있거나 개인이 소장한 경우도 많다. 소유권이 없으니 당장 우리가 나서 보존 문제를 놓고 왈가왈부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지난 7일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일본에 강탈된 뒤 100년 가까이 해외를 떠돌던 조선시대 ‘석가삼존도’를 되찾았다. 가로세로 3m가 넘는 불화는 파격적 도상(圖像) 덕분에 학술적 가치가 큰 희귀 그림으로 간주됐다. 훼손 위기에 놓인 문화재를 찾아왔다는 점에서 쾌거였고, 안휘준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이사장은 “국보급으로 보인다”며 사뭇 흥분했다.

이번 환수는 2012년 7월 문화재청 산하에 출범한 재단의 첫 ‘작품’이다. 부족한 인력과 예산 탓에 “지금껏 제대로 한 일이 없다”는 안팎의 비난을 받아 온 재단으로서는 불화가 첫 해외 환수 사례였던 셈이다.

그런데 과정이 다소 께름칙하다. 해외 소재 문화재의 실태를 연구하던 재단이 불화를 접한 계기는 한 계약직 직원의 인터넷 서핑이었다. 우연히 유튜브에 올라온 관련 동영상을 보고서야 존재를 알게 된 것이다. 성대한 환수 설명회도 그동안 안 이사장이 내세웠던 운영 원칙과는 다소 동떨어진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 이사장은 평소 “(환수는) 사자가 사슴을 노릴 때처럼 조용하게, 전쟁에서 장군이 작전을 세우듯 거시적이고 치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상대방 국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그는 “문화재 한두 점의 환수로 ‘북 치고 장구 치며’ 좋아라 할 일은 아니며 해외 소재 문화재가 모두 환수 대상이라는 인식 역시 바뀌어야 한다”고 말해 왔다. 대신 소장 국가, 제작 시대, 유출 경위 등 실태 파악에 집중해 환수가 아닌 해외 활용에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 왔다.

불화 반환은 미국 허미티지 박물관 측에 3억원 가까운 기부금을 내놓는 방식으로 성사됐다. ‘1문화재 1지킴이’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계 게임회사가 기부하는 형식을 빌렸다. 일각에선 “대가를 치르고 되돌려 받을 수밖에 없다 하더라도, 구체적인 액수는 밝히지 말아야 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부액은 미국 박물관 측이 자체 평가한 가치보다 두 배 가까이 많았다. 비록 국고가 투입되진 않았지만 암묵적으로 행해져 온 ‘돈으로 맞바꾸는’ 방식이 문화재 환수의 새로운 대안이라고 마냥 손뼉 칠 일만은 아니다. ‘기부금 거래’의 선례들이 앞으로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선화 신임 문화재청장도 9일 기자간담회에서 “돈으로 환수하는 방식에 전적으로 찬성할 순 없다”며 “우리 유물의 국제적 가치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상대방의 요구에 휘둘릴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1-10 2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