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재 복원 伊에서 길을 찾다] (중) 도무스 아우레아를 가다

[문화재 복원 伊에서 길을 찾다] (중) 도무스 아우레아를 가다

입력 2014-12-01 00:00
업데이트 2014-12-01 0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땅속 묻힌 ‘황궁’… 인공 흙 덮고 석회벽 보존 처리 등 복원 심혈

건축은 사람의 마음을 지배한다. 인간의 신체를 압도하는 커다란 형체들은 우뚝 솟은 바위나 산 못지않게 초월적 힘을 갖고 있다. 인류는 초기부터 거대한 건축물을 축조해 이곳에 신성한 권위를 부여해 왔다. 종교나 제의가 권력 유지에 기여했던 것처럼 건축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사회 통합의 순기능에 앞서 권력을 신격화하며 지배자의 궁성이나 교회의 성당으로 표면화되기도 했다. 하지만 건축은 주인이었던 지배자보다 오랜 기간 자리를 지키며 역사의 유산으로 남았고, 인류는 이제 그 보존과 활용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이미지 확대
서기 68년 네로 황제가 로마의 팔라티누스 언덕에 완공한 ‘도무스 아우레아’(황금궁전)의 내부. 학자들은 이곳이 황제를 위한 대형 목욕탕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서기 68년 네로 황제가 로마의 팔라티누스 언덕에 완공한 ‘도무스 아우레아’(황금궁전)의 내부. 학자들은 이곳이 황제를 위한 대형 목욕탕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미지 확대
200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땅속에 파묻힌 황궁에는 로마제국에선 처음으로 둥근 볼트형 천장이 사용됐다.
200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땅속에 파묻힌 황궁에는 로마제국에선 처음으로 둥근 볼트형 천장이 사용됐다.


이미지 확대
세베루스와 켈레르, 두 사람의 건축가가 설계한 1.4㎢ 넓이의 황궁은 4년 만에 완공됐다. 천장과 벽면의 곳곳에는 당시의 화려했던 일상을 짐작하게 하는 벽화들이 남아 있다.
세베루스와 켈레르, 두 사람의 건축가가 설계한 1.4㎢ 넓이의 황궁은 4년 만에 완공됐다. 천장과 벽면의 곳곳에는 당시의 화려했던 일상을 짐작하게 하는 벽화들이 남아 있다.


역사적으로 권력은 기반이 약할수록 거대한 기념비적 건축물 축조에 집착했다. 서기 64년 로마 대화재 직후 궁지에 몰린 네로 황제가 세운 ‘도무스 아우레아’(황금궁전)가 대표적이다.

팔라티누스 언덕 등 고대 로마의 7곳 언덕 중 4곳에 걸쳐 자리한 황궁은 눈 아래로 광장과 호수를 내려다봤다. 네로는 궁전 입구에 자신의 모습을 본뜬 37m의 거대한 동상 콜로서스를 세웠다. 도무스 아우레아는 유례를 찾을 수 없도록 화려했으며 지름 16m에 이르는 팔각형 대연회장의 천장은 상아로 장식돼 회전이 가능했다. 돌아갈 때마다 꽃잎과 향수가 연회석상으로 떨어졌다. 반란이 일어나 네로가 자살한 뒤 권력을 장악한 베스파시아누스는 궁전 앞 인공호수 자리에 원형 경기장을 세웠다. 콜로세움이다. 후대 황제들이 도무스 아우레아를 허물고 목욕장 등을 세우면서 황궁은 완전히 땅속에 묻히고 말았다. 흔적이 다시 발견된 것은 15세기 말의 일이다.

지난달 4일 방문한 도무스 아우레아는 수줍게 속살을 드러냈다. 로마의 4분의1을 흔적도 없이 태워 버린 대화재 직후 로마 중심부에 지어진 ‘도시 안의 도시’였지만 조용히 땅속에 숨어 있었다.

복원 책임자인 이탈리아 문화관광부 소속의 이다 시오르티노 박사는 “황궁은 1.4㎢ 크기로 지금의 바티칸시국보다 컸다”면서 “2000년대 들어 본격화한 도무스 아우레아 복원 프로젝트에는 2006년 이후 300만 유로(약 41억원)의 외국계 자본을 포함, 모두 1880만 유로(약 259억원)가 투입됐다”고 전했다. 정부의 지원은 일부에 그치고 대부분 기업체나 재단, 소액 기부자 등이 낸 돈으로 충당했다는 것이다.

일반에 거의 공개되지 않은 황궁의 주 출입구는 팔라티누스 언덕의 한 귀퉁이를 차지한다. 굳게 닫힌 철문을 열면 지하 갱도 같은 거대한 굴길이 나타나고, 이곳을 따라 걸어 내려가면 잘게 부스러진 돌가루만 떨어지는 석회 벽들이 이어진다. 보존 처리를 끝낸 것들로, 벽이 허물어질 위기에 처한 곳들은 밝은 색깔의 보수용 시멘트를 덧칠해 원래 벽과 쉽게 구분하도록 했다.

시오르티노 박사는 “네로 황제가 불과 4년 만에 황궁을 지었는데, 실내가 모두 금박과 은박으로 장식될 만큼 초호화판이었다”며 “현재 바티칸박물관이 소장한 헬레니즘 시대의 라오콘 조각도 이곳에 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굴이 되다시피 한 실내에는 당시 벽화나 장식만이 군데군데 남아 있었다. 목욕탕과 연못, 연회실 등이 차례차례 나타났으나 거미줄처럼 얽힌 통로 대부분은 아직 흙으로 막혀 있었다. 중심부인 팔각형 대연회장에 도착하자 반구 형태의 천장 가운데 빛이 들어오는 광창이 나타났다. 예전 로마 건축에서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둥근 볼트형 천장이다. 최근에는 광창을 틀어막고, 대연회장 위에 자리한 공원의 표면을 무게가 가벼운 인공 흙으로 바꾸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공사 관계자는 “건물의 부식을 늦추고 붕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육중하고 권위적인 형태로 시민들과 단절됐던 이 공간은 수년째 점차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주말마다 제한적으로 시민들의 입장을 허용하고 누리집(http://archeoroma.beniculturali.it/)을 통해 복원 현황을 실시간으로 전한다. 누리집에 올린 시민들의 의견이 복원 현장에 반영되면서 열린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변화를 맞고 있다.

글 사진 로마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2-01 1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