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주 월성서 관청 추정 통일신라 건물지군 확인

경주 월성서 관청 추정 통일신라 건물지군 확인

김승훈 기자
입력 2016-03-30 17:28
업데이트 2016-03-31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토제 벼루 50여점 출토… “문서 작성 공간으로 추정”

신라 천년 왕성인 경주 월성(月城·사적 제16호)에서 관청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시대 후기 건물지군이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월성 C지구에서 출토된 명문기와와 막새 문화재청 제공
월성 C지구에서 출토된 명문기와와 막새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 확대
벼루 다리편. 문화재청 제공
벼루 다리편.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3월부터 진행한 월성 정밀 발굴 조사 결과 월성 중앙의 C지구에서 담으로 둘러싸인 동서 51m, 남북 50.7m, 면적 2585㎡인 정사각형 부지 안팎에 있는 건물지 14개를 찾아냈다고 30일 밝혔다. 건물과 담장 건축 시기는 인화문(도장 무늬) 토기, 국화형 연화문 수막새 등의 출토 유물을 통해 8세기 중반 이후로 추정됐다.

건물지군의 성격은 흙으로 만든 ‘토제 벼루’를 통해 유추할 수 있었다. 연구소는 “토제 벼루 50여점이 출토됐는데 월성 주변의 동궁과 월지, 분황사 등에서 나온 양보다 월등히 많다”면서 “이 점으로 미뤄 이번에 발굴된 건물지군이 문서를 작성하는 공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C지구에선 ‘정도’(井桃), ‘전인’(典人), ‘본’(本), ‘동궁’(東宮) 등이 새겨진 명문기와와 암막새 등 기와류를 비롯해 다량의 토기도 출토됐다. 연구소는 “전인은 궁궐 부속 관청인 와기전(기와·그릇 생산 담당)에 소속된 실무자, 본은 신라 정치 체제인 6부 중 하나인 ‘본피부’(本彼部), 동궁은 태자가 거처하는 궁궐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소는 또한 C지구 탐색 조사에서 2개의 통일신라 문화층(특정 시대의 문화 양상을 보여주는 지층)과 5개의 신라 문화층이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 연구소는 “현재까지 확보된 유물 분석 자료에 따르면 월성에는 주로 4~9세기 왕궁 또는 관련 시설이 들어섰으며 신라 멸망 이후엔 거의 사람이 살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조사를 시작한 월성 서쪽 A지구에선 지금까지 출토된 적이 없는 용도 불명의 특이한 기와가 나왔다. 이 기와는 신라에서 처음 기와가 사용된 6세기 전후 제작된 무문(無文·민무늬) 암막새와 비슷하지만 제작 기법이 달라 주목된다. 문화재청은 2014년 12월 개토제를 시작으로 3개월간 시굴을 한 뒤 지난해 3월 본격 발굴에 착수했으며 20만 7000㎡ 면적의 월성을 A~D지구로 나눠 발굴하고 있다. 현재는 C지구와 A지구의 성벽, 문지를 조사하고 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6-03-31 25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