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하듯 옻칠로 시간을 입히다

수행하듯 옻칠로 시간을 입히다

함혜리 기자
입력 2016-11-30 17:23
수정 2016-11-30 17: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허명욱 ‘칠하다’전, 12월 4일까지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

 그의 그림은 마크로스코의 평면회화, 혹은 단색조 회화를 떠올리지만 실은 보기에만 그럴 뿐 내용은 많이 다르다. 옻이 물감 대신 칠해졌고, 캔버스가 아니라 자체 제작한 금속 화판을 사용했다. 회화, 설치, 영상, 사진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드는 작가 허명욱(50)의 개인전이 서울 종로구 삼청로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에서 12월 4일까지 열린다.

 전시명 ‘칠漆 하다’는 면이 있는 사물에 물감 따위를 바르거나 도포하는 사전적 의미에서 더 나아가 작가가 무수히 반복하는 시간의 중첩을 통한 칠을 의미한다. 전통 한국 공예에서 마감 도료에 머물렀던 옻칠은 작가의 평면 회화 화면에서 묵직하고도 엄격하게 존재감을 드러낸다. 금속 화판 위에 오랜 시간을 두고 각각의 다양한 색들을 서로 중첩시키는 행위를 반복한 결과다. 그 중첩된 흔적들은 오롯이 시간의 무게로 다가온다.

 옻칠의 특성상 작가는 30도 이상의 온도와 70% 습도를 유지한 고온다습한 여름과 같은 실내환경에서 생칠에서부터 수십번의 흑칠을 하며 꼬박 서너달을 흘려보낸다. 흑칠 이후 금속 화판에 처음 입힌 삼베를 자르고 그 면에 마감칠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수도자의 수행의 방불케 한다는 점에서 단색화 작가들의 작업과 맥이 닿아있다. 작품들은 대부분 화면이 둘로 나뉘어 있다. 한쪽은 거칠고 다른 한쪽은 반질반질하다. 전시 작품 중 ‘무제’시리즈 3점에서는 순도 99.9%의 금박을 사용하기도 했다. 시간의 제약 앞에서 변치 않는 것에 대한 인간의 갈망을 상징하는 금은 옻의 특성 때문에 채도가 높아지고 명 색이 명료해 지는 간색들과 대조를 이룬다.

작가는 “마무리 작업으로 작품의 한쪽에서는 시간이 정지하지만 다른 면에서의 자연적 시간은 계속 소멸을 향해 진행 한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양화의 일반 페인팅 도료가 아닌 한국 옻칠을 택하게 된 2008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작가는 인간이 설정한 인위적인 시간성과 작품 제작 단계에서 개입하는 시간성, 이들이 함께하는 총체적인 시간성을 작업의 주제로 삼아왔다. “마음의 근원을 찾아 수행하듯 수십개의 다른 색을 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켜켜이 채워나가며 내면의 정화를 시도한다”는 작가의 사유의 끝은 어디일까. 가장 공들인 작품 ‘무제’를 보면 그가 얻은 답은 ‘공백’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전시장에는 평면 회화 뿐 아니라 폭 30㎝ 가량되는 옻칠 용기 수백여개를 쌓은 설치작품도 있다. 제각기 다른 성별, 직업, 연령을 가진 180명에 의해 닳고 때가 묻어 돌아 온 옻칠 용기와 자연에 의해 변화된 옻칠 용기를 함께 놓은 것으로 ‘자연에 조응한 조형성’ 혹은 ‘시간’에 대한 작가의 통찰을 들여다 보게 해 준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