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나쁜 기운 막는다” 1500년 전 토기에 담긴 뜻은

“나쁜 기운 막는다” 1500년 전 토기에 담긴 뜻은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2-23 10:31
업데이트 2022-02-23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여 왕릉원 4호분 발굴 조사서 확인
“백제 장례문화 연구 단서…내부 분석”

부여 왕릉원 4호분 출토 토기. 문화재청 제공
부여 왕릉원 4호분 출토 토기. 문화재청 제공
백제 사비도읍기(538∼660) 왕릉급 무덤이 모여 있는 충남 부여 왕릉원의 한 고분 입구에서 편평한 깬 돌을 뚜껑처럼 얹은 토기 2점이 나왔다. 이런 매납 방식은 백제 고분에서 처음 확인된 사례로, 백제 장례문화와 제의 과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단서로 평가된다.

23일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부여 왕릉원 4호분 ‘서상총’ 발굴조사를 통해 묘도 바닥 양쪽에서 돌을 위쪽에 덮고 똑바로 세운 토기가 발견됐다. 묘도는 무덤 입구부터 시신을 두는 방에 이르는 길을 뜻한다.

발굴된 두 토기는 높이가 49㎝ 안팎으로 거의 비슷하고 형태도 유사해 의도적으로 같이 만든 물품으로 추정된다. 뚜껑 돌은 토기 안에 담긴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않게 일부러 얹은 것으로 보인다. 내부에는 흙이 절반 정도 채워져 있었는데, 묻힌 뒤 자연스럽게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이 크다.
부여 왕릉원 4호분 발굴조사 근경. 문화재청 제공
부여 왕릉원 4호분 발굴조사 근경. 문화재청 제공
연구소는 이 토기들이 건물을 지을 때 나쁜 기운을 막는 ‘진단구’(鎭壇具)일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연구소 관계자는 “토기를 무덤 축조 전에 묻었는지, 관이 들어가는 과정에 넣었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묘도를 조성한 뒤 다시 묘도 바닥을 파고 토기를 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에서도 무덤에 토기를 이처럼 묻은 예는 거의 없다고 알려졌다”며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토기 내부 유기물 분석에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소는 이번 유물이 고고학 자료가 부족한 백제 장례문화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한편 조사단은 일제강점기에 조사됐지만, 도면도 남아 있지 않은 서상총의 정확한 규모와 구조도 파악했다. 서상총이 전형적인 사비도읍기 횡혈식 석실분(굴식돌방무덤)이고, 봉분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묘도 토기 2점 외에 특별히 눈에 띄는 유물은 없었다.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다음 달부터 부여 왕릉원 3호분인 ‘서하총’을 조사할 예정이다. 부여 왕릉원에는 일제강점기에 확인된 고분 6기와 50여년 전 보수 과정에서 나타난 고분 1기가 정비돼 있다. 왕릉원 3호분과 4호분은 아직 무덤 주인이 누구인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김정화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