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통도사·고성 운흥사의 비밀 드러낸 불단

양산 통도사·고성 운흥사의 비밀 드러낸 불단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04-18 17:01
수정 2022-04-18 17: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양산 통도사 대웅전 불단. 문화재청 제공
양산 통도사 대웅전 불단. 문화재청 제공
양산 통도사 대웅전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까. 고성 운흥사 대웅전은 언제 만들어졌을까. 사찰의 사연이 담긴 불단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가 함께 공동 추진하고 있는 ‘2021년 전국 사찰 불단 일제조사’ 결과 보고서가 18일 발간됐다. 보고서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추진하는 ‘불교문화재 일제조사’ 사업 중 지난해 조사한 순천 정혜사 대웅전(보물),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부산 범어사 대웅전(보물), 창녕 관룡사 대웅전(보물), 기장 장안사 대웅전(보물) 등의 불단을 포함해 전국 11개 사찰의 불단에 대한 조사 결과를 담고 있다.

불단(佛壇)은 부처님을 높이 모시기 위해 만든 단(壇)으로 그동안 건축물의 일부로 인식된 데다, 예불의식으로 접근이 어려워 불상, 불화 등 다른 유형문화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다. 불단은 불상을 봉안하는 종교적 상징성으로 불교 목공예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지만 목재로 만들어져 화재, 충해, 습기 등 외부 환경에 취약했다.
양산 통도사 불단 내부 묵서. 문화재청 제공
양산 통도사 불단 내부 묵서. 문화재청 제공
두 기관은 2020년부터 불단에 대한 다양한 조사를 통해 새로운 기록을 찾아냈다. 통도사 대웅전의 불단은 진신사리(眞身舍利·석가모니 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을 예배하기 위한 것이며, 그 특성상 천판(天板·불단 위의 존상을 받치는 길고 넓은 판) 상부에 불상을 봉안하지 않은 독특한 구조와 형태를 하고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묵서 기록도 발견됐는데, 기록을 통해 우운 진희(?~1694) 스님 주도로 1644년 대웅전을 중건하고 1645년 불단을 제작한 사실도 확인했다. 불단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의 기록도 있었다.

또한 고성 운흥사 대웅전 불단에서는 1683년 제작한 사실이 확인됐다. 그동안 대웅전이 1731년 건립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중건시기를 보완할 수 있게 됐다. 
고성 운흥사 대웅전 불단. 문화재청 제공
고성 운흥사 대웅전 불단. 문화재청 제공
이와 함께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는 ‘한국의 고승 진영 정밀 학술조사’ 사업 결과도 중간 발표했다. 고승 진영이란 덕이 높은 승려를 주인공으로 하는 그림으로 그동안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해 관리 체계가 미흡했다. 이번에 순천 송광사, 합천 해인사 등 28개 사찰에 소장된 347점의 진영을 조사한 결과가 포함됐다.

이번 조사로 제작연대, 도상의 특수성, 희소성 등을 고려하여 그 중요성이 인정된 작품은 총 4점이다. 해인사의 ‘부휴당선수 진영’은 서산대사(휴정)와 함께 조선 중‧후기 불교 중흥을 이끈 스님인 부휴선수를 그린 것으로, 그의 유일한 진영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해인사 백련암 ‘환적의당의천 진영’은 1750년에 조성된 작품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작품이다. 해인사 홍제암 ‘송파당 각민 진영’은 송파각민을 그린 진영 중 양식적으로 가장 앞서는 것으로 추정된다. 해인사 국일암 ‘벽암당각성 진영’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의승장으로 크게 활약한 벽암각성(1575~1660)의 진영으로, 1780년이라는 분명한 제작시기가 남아 있다. 
해인사 부휴당선수 진영. 문화재청 제공
해인사 부휴당선수 진영. 문화재청 제공
두 기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체계적인 관리와 보존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전통문화 콘텐츠로 활용하기에도 가치가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문화재청과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올해도 많은 불단과 진영을 조사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