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심정지 환자 살린 고교생](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5/SSI_20220825092956_O2.jpg)
![50대 심정지 환자 살린 고교생](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5/SSI_20220825092956.jpg)
50대 심정지 환자 살린 고교생
kbs 방송화면 캡처
![kbs 방송화면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5/SSI_20220825093008_O2.jpg)
![kbs 방송화면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5/SSI_20220825093008.jpg)
kbs 방송화면 캡처
24일 KBS ‘스포츠 9’에 따르면 서울 성남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공도혁 선수는 지난 달 아파트 헬스장에서 운동을 하던 중 심정지로 쓰러진 50대 남성을 목격하고, 체육시간에 익힌 심폐소생술을 기억해 곧바로 조치에 나섰다.
심폐소생술의 경우 강한 힘을 이용해 심장을 마사지 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체력을 필요로 한다. 공 선수는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무려 20분을 쉬지 않고 심폐소생술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공도혁 선수의 침착한 대응 덕분에 쓰러진 남성은 후유증 없이 건강을 되찾았다. 사고자 가족은 “현장에 도착해보니 땀을 뻘뻘 흘리며 눈물을 그렁거리는 학생이 있었다. 병원에서도 기적이고, 천운이라는 말을 들었다”라며 고마움을 전했다.
공도혁 선수는 “관심이 있었던 교육이어서 열심히 들었던 것 같다”라며 “생명이 소중하니까 살리려는 욕심이 강했다. 그 상황에서는 전혀 힘들지 않았다. 매사에 열심히 하고 전력 질주하고, 예의 바르고 인성이 최대한 갖춰진 그런 야구 선수가 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학교는 공도혁 선수에게 선행상을 수여했고, 관할 소방서는 ‘하트세이버’ 인증을 검토하고 있다.
![심폐소생술 교육 자료사진(전북소방본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3/SSI_20220813094114_O2.jpg)
![심폐소생술 교육 자료사진(전북소방본부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3/SSI_20220813094114.jpg)
심폐소생술 교육 자료사진(전북소방본부 제공)
심정지 환자 발생 시 1분 이내에 심폐소생술을 신속하게 시행할 경우 생존율은 95% 이상이다. 그러나 심정지 골든타임이라 일컬어지는 4분을 경과하면 생존율이 25% 이하로 낮아져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소방본부는 “심정지 발생시 최초 목격자가 즉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소생률이 크게 증가하는 만큼 심정지 환자를 발견하면 망설임 없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달라”라며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에도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상을 제작해 송출하고 있는 만큼 이를 잘 활용해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