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 중국 가수 보송(博松)은 36세의 이른 나이에 사망했다. 사인은 ‘구강암’이었다. 보송은 2021년 볼이 부어올라 병원 진료를 받던 중 구강암 판정을 받았다. 그는 병원 치료를 받으며 항암 브이로그를 통해 팬들과 계속해서 소통했다.
보송은 생전 브이로그를 통해 ‘빈랑(槟榔)’을 먹지 말 것을 강조했다. 그는 6년간 빈랑 열매를 즐겨 씹었고, 구강암 판정을 받은 후에야 빈랑을 끊었다고 밝혔다. “내 경험을 통해 빈랑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알리고 싶다”며 빈랑의 위험성을 알리던 보송은 구강암 판정 1년여만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다.
● WHO, 2004년 ‘빈랑’ 발암물질 등록
빈랑나무 열매는 중국의 전통 한약재다. 냉증을 앓거나 장 기능이 약한 사람에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중국과 대만,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오랜 세월 씹는 용도로 사랑을 받아왔다.
그러나 현대 의학이 발달한 이후 빈랑나무 열매는 구강암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빈랑에 함유된 아레콜린 성분이 구강암을 유발하고 중독·각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보건기구(WHO) 국제 암 연구소는 2004년 빈랑 열매를 2급 발암물질로 등록했다.
중국에서도 2017년에는 빈랑의 성분인 아레콜린을 발암물질로 규정했지만, 중국 내 ‘빈랑 사랑’은 좀저첨 식지 않았다. 이에 중국 당국은 2020년 식품 품목에서 빈랑을 제외하고 지난해부터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인터넷 등에 광고하는 것을 규제했다.
의학 전문지 랜싯이 2019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후난성의 구강암 환자 8222명 중 90%가 빈랑 열매를 씹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난성은 허난성에서 재배된 빈랑 열매가 가공되는 지역으로, 빈랑 열매 소비가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하다.
● 국내선 한약재로 들어와WHO가 2급 발암물질로 지정했음에도 국내에서는 빈랑이 한약재로 분류돼 매년 수십톤씩 수입되고 있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5년간 국내에 수입된 빈랑은 103t이다.
관세청은 빈랑이 약사법에 따른 한약재로 관리되고 있어 검사필증을 구비하면 수입통관에 별다른 제재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5년까지 빈랑 관련 안전성 평가 연구를 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주관 연구기관도 선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주무 부처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보송은 생전 브이로그를 통해 ‘빈랑(槟榔)’을 먹지 말 것을 강조했다. 그는 6년간 빈랑 열매를 즐겨 씹었고, 구강암 판정을 받은 후에야 빈랑을 끊었다고 밝혔다. “내 경험을 통해 빈랑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알리고 싶다”며 빈랑의 위험성을 알리던 보송은 구강암 판정 1년여만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다.
● WHO, 2004년 ‘빈랑’ 발암물질 등록
빈랑나무 열매는 중국의 전통 한약재다. 냉증을 앓거나 장 기능이 약한 사람에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중국과 대만, 동남아시아 일대에서 오랜 세월 씹는 용도로 사랑을 받아왔다.
그러나 현대 의학이 발달한 이후 빈랑나무 열매는 구강암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빈랑에 함유된 아레콜린 성분이 구강암을 유발하고 중독·각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보건기구(WHO) 국제 암 연구소는 2004년 빈랑 열매를 2급 발암물질로 등록했다.
중국에서도 2017년에는 빈랑의 성분인 아레콜린을 발암물질로 규정했지만, 중국 내 ‘빈랑 사랑’은 좀저첨 식지 않았다. 이에 중국 당국은 2020년 식품 품목에서 빈랑을 제외하고 지난해부터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인터넷 등에 광고하는 것을 규제했다.
의학 전문지 랜싯이 2019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후난성의 구강암 환자 8222명 중 90%가 빈랑 열매를 씹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난성은 허난성에서 재배된 빈랑 열매가 가공되는 지역으로, 빈랑 열매 소비가 가장 많은 곳이기도 하다.
● 국내선 한약재로 들어와WHO가 2급 발암물질로 지정했음에도 국내에서는 빈랑이 한약재로 분류돼 매년 수십톤씩 수입되고 있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5년간 국내에 수입된 빈랑은 103t이다.
잎에 싸서 씹는 빈랑나무 열매
123rf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5년까지 빈랑 관련 안전성 평가 연구를 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주관 연구기관도 선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들의 안전을 위해 주무 부처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