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명승 지정된 별서정원 조성 시기 등 역사적 사실 새로 확인

명승 지정된 별서정원 조성 시기 등 역사적 사실 새로 확인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2-12-27 18:56
업데이트 2022-12-27 18: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문화재청 제공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문화재청 제공
경북 봉화 청암정 등 명승으로 지정된 별서정원 9곳의 비밀이 새로 밝혀졌다. 그간 제대로 파악되지 않았던 역사적 사실을 새로 확인하면서 유적지가 보다 진정성을 얻게 됐다.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은 중종 21년(1526) 충재 권벌(1478~1548)이 바위 위에 지은 청암정(靑巖亭)과 그의 아들인 청암 권동보(1518~1592)가 부친의 뜻을 이어받아 석천계곡에 지은 석천정(石泉亭)으로 이뤄져 있다. 이들이 위치한 유곡 마을은 1380년 권벌의 선조가 처음 개척한 곳으로 알려졌었으나, 권벌이 중종 15년(1520) 터를 잡은 곳임이 확인됐다.

경남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은 화림재 전시서가 은거하며 억새로 만든 정자를 1872년 재건한 것으로 알려진 곳이지만 실제로는 전시서가 은거했던 곳 서쪽에 그의 후손인 전재택 등이 고종 9년(1872) 새로 세운 정자였다. 광주 환벽당 원림 일원은 사촌 김윤제(1501∼1572)가 노년에 후학양성을 위해 지은 정자로 알려졌으나, 실제는 그의 부친 김후의 정자를 김윤제가 중수하여 건립한 것이 확인됐다.

정원은 오랜 시간을 거치는 동안 화재나 목부재의 부식 등으로 중수나 중건 등이 불가피하다. 전남 담양 명옥헌 원림과 경북 안동 만휴정 원림, 경남 밀양 월연대 일원, 전남 화순 임대정 원림 4개소는 정원의 초기형태뿐만 아니라 중수나 중건이 새롭게 확인된 사례다.
화순 임대정 원림. 문화재청 제공
화순 임대정 원림. 문화재청 제공
담양 명옥헌 원림은 조선 중기 명곡 오희도(1583~1623)와 그의 아들 오이정(1619~1655)이 만들었다고 알려졌었지만 이번 검토를 통해 오희도가 은거했던 망재(忘齋)라는 이름의 서재 인근에 오이정이 조성한 별서임이 확인됐다. 영조 25년(1748) 오이정의 손자 오대경(1689∼1761)이 현감 재직 시절 퇴락한 명옥헌을 중수했다.

안동 만휴정 원림은 보백당 김계행(1431~1517)이 은거하며 경영한 쌍청헌(雙淸軒) 터에 위치한 정자다. 영조 46년(1770) 동도 김덕일(1734∼1794)이 중수했다. 밀양 월연대 일원은 조선 중종 때 문신 월연 이태(1483∼1536)가 관직에서 물러나 쌍경당(雙鏡堂)과 월연대(月淵臺)를 조성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쌍경당을 숙종 23년(1697)에 중수하고 고종 3년(1866) 이태의 11대손 이종술이 월연대를 중수했음이 밝혀졌다.

화순 임대정 원림은 16세기 후반 고반 남언기(?~?)가 조성한 고반원(考槃園)의 수륜대(垂綸臺) 옛 터에 철종 13년(1862) 사애 민주현(1808∼1882)이 건립한 정자다. 임대정은 본래 풀이나 갈대 따위로 지붕을 이었으나 시간이 지나 허물어졌고, 민주현의 손자 민대호(1860~1932) 등이 1922년 정자를 중수하면서 2칸을 더 짓고 기와를 올려 현재의 모습이 완성됐다.

경남 거창 용암정 일원은 순조 원년(1801) 용암 임석형(1751∼1816)이 조부와 부친을 따라 노닐던 용암 위에 세운 정자로, 고종 원년(1864) 증손 임수학이 중수했다. 전남 강진 백운동 원림은 이담로(1627~?)가 정원을 만든 시기가 명확하지 않았으나, 김창집(1648~1722)의 고시(古詩)를 통해 1678년 이전 만들어진 정원임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은 이번 명승 별서정원의 지정가치와 역사성 검토 결과에 따라 고시문과 국가문화유산포털에 게재한 내용을 정정할 계획이다. 향후에도 명승으로 지정된 모든 별서정원을 조사해 진정성을 확립할 계획이다.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