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계 블로그] 국악계 ‘그들만의 잔치’ 국민연금과 쏙 닮았다?

[문화계 블로그] 국악계 ‘그들만의 잔치’ 국민연금과 쏙 닮았다?

입력 2010-04-08 00:00
업데이트 2010-04-08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악 공연장에 가면 흥미로운 풍경과 마주치게 된다. 관객들이 매우 낯익다는 것이다. 공연이 끝나면 연주자가 관객들과 악수하기도 한다. 서로서로 잘 안다는 의미다. 모든 국악 공연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소규모 개인공연일수록 이런 경향이 두드러진다. 공연자의 지인(知人)들, 특히 제자들이 객석을 메워주는 경우가 많은 까닭이다.

이미지 확대
얼마 전 한 국악 공연장에서 만난 관객은 이를 두고 “국민연금 같다.”고 했다. 후대(後代)의 경제력을 밑천 삼아 당대(當代)의 연금을 나눠쓰는 것처럼 국악도 제자가 자리를 메워주고 그 제자는 다시 훗날의 스승이 돼 또 다른 제자에게 객석 품앗이를 받는다는 얘기였다. ‘그들만의 잔치’가 돼버린 국악 현실에 대한 뼈 있는 비유였다.

국악과 국민연금의 공통점은 또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자금 고갈이 우려되는 국민연금처럼 국악도 갈수록 밑천이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자리를 메워줄 제자도, 이를 즐길 관객도 줄고 있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교향악단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유명 지휘자 영입 경쟁에 나서는 양악(클래식)의 현실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발간하는 문예연감에 따르면 클래식 공연은 2004년 4030건에서 2008년 5811건으로 4년 새 44%나 늘었다. 같은 기간 국악은 40% 급감했다. 연극, 무용 등 다른 장르와 비교해도 공연 횟수가 줄어든 분야는 국악이 유일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근 국악 공연계가 ‘젊은 국악’을 외치며 관객과의 교감 시도에 나섰다는 점이다. 박일훈 국립국악원장은 “국악 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젊은 층이 국악을 좀 더 자주, 그리고 쉽게 접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 지역 국악원에 새로 만든 유소년 예술체험단이나 ‘명인 프로젝트’는 그 노력의 하나다. 국악교육 및 연수를 담당하는 비상임 단원을 전체 상임단원(369명)의 21% 수준에서 3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악과 대중음악을 결합시킨 퓨전공연 ‘뛰다 튀다 타다’(2만~5만원, 02-2280-4115~6)도 17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올린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이 주축이 돼 국악, 영상, 퍼포먼스를 다양하게 선보인다. 대중문화에 길들여진 젊은이들을 국악 공연장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의도다. 주제도 로맨스다.

국악계의 변신 노력이 국민연금과의 닮은꼴 고리를 끊어낼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4-08 17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